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상장사 5곳 중 1곳, 돈벌어 이자도 못갚아…한계기업 6년새 '2배'

2016년 9.3%→작년 17.5%…코스닥은 20.5%로 더 심각
임대서비스업, 한계기업 비중 가장 높아…"업종별 맞춤형 정책 필요"

(서울=뉴스1) 김종윤 기자 | 2023-05-22 06:00 송고
한국 상장사 한계기업 업종별 증가 추이(한국경제인연합회 제공)
한국 상장사 한계기업 업종별 증가 추이(한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상장사 5곳 중 한 곳은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돈으로 대출이자도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6년만에 약 2배 증가한 규모다.

22일 한국경제인연합회(옛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상장사의 한계기업 비중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상장사의 17.5%가 한계기업으로 조사됐다. 2016년(9.3%)보다 8.2%포인트(p) 증가했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이 1미만인 곳을 말한다. 이 수치가 1보다 낮으면 번 돈을 전부 이자 상환에 써도 모자란다는 의미다.

코스닥 한계기업 비중(20.5%)이 코스피(11.5%)보다 약 2배 높았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글로벌 금리인상 기조로 인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코스닥 상장사들의 이자상환능력이 더욱 취약했다는 분석이다.

한계기업 비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임대서비스업(30.4%)이었고, 운수·창고업(25.8%), 과학·기술 서비스업(25%), 도매·소매업(23.2%) 순이었다. 2016년보다 한계기업 비율이 크게 오른 업종은 운수·창고업(6.5%→25.8%), 과학·기술 서비스업(9%→25.0%), 임대 서비스업(13.0%→30.4%) 순이었다.
2021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중국을 비롯한 G5(주요 5개국) 등 7개국 중에선 미국(20.9%)의 한계기업 비중이 가장 높았고 프랑스(19.2%)에 이어 우리나라(16.5%)는 세번째였다. 추광호 한국경제인연합회 경제산업본부장은 "안정적 금융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ms@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