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10년치 소득 꼬박 모아야 내집 마련…수도권 PIR 8.0→10.1배 껑충

통계청 '2022 한국 사회지표'…주택보급률, 1.4%p 하락한 102.2%
대학원 졸업자, 고졸자보다 2.3배 더 받아…학력 따른 임금 격차 감소

(서울=뉴스1) 김유승 기자, 최현만 기자, 손승환 기자 | 2023-03-23 12:00 송고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모습. 2023.3.22/뉴스1 © News1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모습. 2023.3.22/뉴스1 © News1

주택 가격이 크게 급등했던 지난 2021년 수도권에서 집 한 채를 장만하려면 10년치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꼬박 모아야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3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2 한국의 사회지표'를 발표했다.
주택가격이 한 가구의 연간 소득보다 얼마나 비싼지를 나타내는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PIR)은 2021년 6.7배로 전년보다 1.2배포인트(p) 증가했다.

특히 수도권의 배율은 10.1배로 전년보다 2.1배p 상승했다. 광역시 등은 7.1배, 도 지역은 4.2배였는데 각각 전년보다 1.1배p, 0.3배p 올랐다.

소득별로 하위계층의 PIR은 전년보다 1.1배p 증가한 9.4배였다. 중위계층은 0.6배p 증가한 6.3배, 상위계층은 1.7배p 증가한 7.1배였다.  
소득 수준 및 지역별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통계청 제공)
소득 수준 및 지역별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통계청 제공)

2021년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IR)은 15.7%로 전년보다 0.9%p 감소했다.

수도권은 17.8%, 광역시는 14.4%, 도 지역은 12.6%로 각각 전년보다 0.8%p, 0.7%p, 0.1%p씩 줄었다.

소득 상위계층이 19.6%로 가장 높았고 중위계층이 16%, 하위계층이 18%였다.

2021년 인구 1000명당 주택 수는 423.6호로 전년 대비 5.4호 증가했다. 반면 주택보급률은 102.2%로 전년보다 1.4%p 하락했다.

같은 기간 최저 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가구 비중은 4.5%로 전년보다 0.1%p 감소했다.

1인당 주거 면적은 30.3㎡로 전년보다 0.6㎡ 늘었다. 다만 인구가 집중된 수도권 지역의 1인당 면적은 평균보다 낮았다. 서울이 가장 낮은 27.2㎡, 인천이 28.2㎡, 경기가 29.1㎡였다.

교육수준별 임금수준(통계청 제공)
교육수준별 임금수준(통계청 제공)

한편 교육 수준별 임금 격차는 전년보다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컸다. 

2021년 대졸자를 100.0%로 한 교육 수준별 임금 수준은 중졸 이하 48.9%, 고졸 64.4%, 전문대졸 78.2%, 대학원졸 145.5%였다.

대졸자 임금은 고졸자 임금의 약 1.6배, 대학원 졸업자는 고졸자 임금의 2.3배, 대졸자 임금의 1.5배였다.

전년과 비교해 중졸 이하는 1.3%p, 고졸은 1.1%p, 전문대졸은 1.2%p 올라 대졸과의 격차가 줄었다. 대학원졸은 전년보다 1.6%p 줄어 마찬가지로 격차가 작아졌다.


kys@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