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경제 >

중·러와 전력망 연결?…동북아 그리드 사업 재추진될지 주목

2019년 이후 논의 진전 없어…반중감정·한일 관계 등 장벽

(세종=뉴스1) 박기락 기자 | 2021-06-26 06:00 송고
© News1 장수영
© News1 장수영

2050년까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정부 계획에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전기를 들여오는 방안이 포함되면서 사실상 중단 상태에 있던 '동북아 그리드' 사업이 재추진될지 관심이다.

우리나라와 북한, 중국, 러시아의 전력망을 연계하는 '동북아 그리드' 사업은 이미 십수년 전부터 논의가 있었지만 국가간 입장 차이 등으로 추진력을 얻지 못했다.
최근 정부가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위원회에 보고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는 2050년까지 태양광 풍력을 포함한 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을 62.3%까지 올리고 원전 비율을 7%까지 낮추는 방안이 담겼다.

시나리오는 각 에너지원의 비중에 따라 석탄발전을 남겨두지 않는 1안과 7기의 석탄발전을 남겨두는 2안으로 구성됐다. 1안은 석탄발전을 모두 없애는 대신 재생에너지 비중을 61.9%까지 올리고 나머지를 무탄소 신전원(10.6%), 연료전지(9.8%), LNG(7.4%), 원자력(7%), 동북아 그리드 (2.7%), 양수·기타(0.7%)로 충당하는 방안이 담겼다.

2안은 석탄화력 비중을 1.5% 남겨두면서 재생에너지 비중이 59.5%까지 떨어진다. 나머지 전력은 무탄소 신전원(11.6%), 연료전지(9.4%), LNG(7.8%), 원자력(7%), 동북아그리드(2.6%)로 충당한다.
1안과 2안 모두에는 '동북아 그리드'가 포함돼 있다. 일각에서 정부의 무리한 '탈원전' 정책 때문에 정부가 불가피하게 중국과 러시아에서 전기를 수입해 오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하지만 이 사업이 2006년 러시아와 공동연구를 시작으로 2011년 중국, 일본까지 확대됐다는 점에서 '탈원전' 때문에 추진했다고 보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기상상태에 따라 발전량이 달라지는 단점이 있다. 재생에너지 강국으로 알려진 덴마크, 독일 등 유럽국가들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각국을 잇는 전력 연계망인 '슈퍼그리드'를 구축해 운영중이다.

이들 국가는 전기가 부족할 때 주변국으로부터 전기를 사오지만 남는 전기를 팔기도 한다. 실제로 독일이나 덴마크는 '사 오는' 전기보다 '파는' 전기가 더 많은 국가이기도 하다.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내 동북아 그리드 추진안© 뉴스1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내 동북아 그리드 추진안© 뉴스1

한·중·일과 북한, 몽골, 러시아 등 주변국 전력망을 연결하는 동북아 슈퍼그리드 계획은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이 제3차 동방경제포럼에서 중국·러시아·몽골 등 동북아 국가에 협의를 제안하면서 급물살을 타는 듯 했다.

이후 한전이 중국의 최대전력국영기업인 국가전망공사(SGCC), 일본 소프트뱅크 등과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했고 경제성으로 문제가 없다는 결과를 받아들기도 했다. 하지만 2019년 이후 사업 추진을 위한 국가간 논의는 큰 진전이 없는 상태다.

우리나라와 직접 전력망을 잇고 싶어하는 중국이 비교적 적극적인 모습이지만 러시아, 일본 등은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국내 반중 감정이 여전하고 경색된 한일 관계도 사업 추진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한편 정부는 올 4월 발표한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내년까지 동북아 그리드 구축을 위한 한중 사업화에 착수하겠다는 계획을 포함시켰다. 또 일본과 러시아와 전력망을 잇기 위한 사업타당성 조사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동북아 그리드 사업은) 중국, 러시아, 일본 등 각 국가와 초기 단계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가간 전력망을 어떤 방식으로 이을지는 추가적인 협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kirocker@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