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해리스 美대사, 계속된 구설…결국 외신이 '11월 사임' 보도

美국무부 "지속적 봉사할 것…동맹강화 의지 변함없어"

(서울=뉴스1) 최종일 기자 | 2020-04-10 13:08 송고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뉴스1 DB © News1 안은나 기자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뉴스1 DB © News1 안은나 기자

오는 11월 사임설이 제기된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대사는 2018년 7월 공식 부임했다. 주호주미국대사에 앞서 지명됐지만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요청으로 같은 해 5월 주한미국대사로 재지명됐고, 인준절차 등을 거쳐 약 2개월만에 업무를 시작했다.

우려곡절도 있었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석좌가 우리 정부로부터 아그레망(주재국 임명동의)을 받고도 내정이 철회되는 일이 있었다. 대북 제한적 선제타격에 회의적 입장을 보여 낙마했다는 외신보도가 잇따랐다.
미 태평양사령관을 지낸 해군 4성 장군 출신으로 대북강경파인 해리스 대사의 부임으로 마크 리퍼트 대사가 귀임한 이후 1년 6개월 간 이어졌던 미 대사 공백은 없어졌다. 또 미국인 부친과 일본인 모친 사이에서 태어난 일본계 미국인이란 점도 부임 때부터 화제가 됐다.

한미 양국 간엔 이견 조율이 쉽지 않은 각종 갈등 현안이 산적한 상황에서 부임한 해리스 대사는 백악관의 뜻을 충실히 전달하는 악역을 마다하지 않았고, 그의 강직한 성격과 직설적 화법은 부정적 요인으로 비춰졌다.

제 10차 한미방위비협상과 관련 한미가 협상중이었던 지난해 1월엔 청와대를 찾아가 미국의 최종 요구액으로 10억달러를 최후 통보했다. 현재 진행중인 11차 협상에서도 국회 정보위원장에게 한국이 분담금 50억달러를 내야 한다고 수차례 언급해, 여권에서 "오만하다"는 논평을 내기도 했다.
지난해 8월 우리 정부의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 선언 이후 미 정부 인사들이 "우려와 실망"의 반응을 내보이자 우리 외교부는 해리스 대사를 불러 면담했고 이에 대해 이례적으로 '초치'라는 용어를 쓰기도 했다.

지난해 10월엔 대학생 단체 회원들이 미 대사관저에 기습 진입해 농성을 벌이는 일도 벌어졌다. 또 올 초엔 남북협력 제안 등을 담은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사가 발표된 직후, '속도조절론'을 공개적으로 밝혀 여권으로부터 "조선 총독"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해리스 대사는 지난 1월 중반 외신 기자들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정부의 독자적 남북협력 추진 구상에 미국과의 사전 긴밀한 협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면서 "제재를 촉발할 수 있는 오해"를 낳을 수 있다고 경고해 또 다시 입방아에 올랐다.

한미 간 각종 현안에 대해서 주한미국대사가 미국의 입장을 강변하며 해석의 여지를 두지 않는 직설적 화법을 구사하다고 보니, 지나치게 고압적이고 강경해 외교관으로서 맞지 않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각에서 제기되기도 했다.

아울러 2018년 10월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로 한일 갈등이 크게 고조된 상황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를 대변하다보니 해리스 대사에 대한 국내의 비판은 그의 일본계 혈통와 맞물리게 됐다는 진단도 있다. 

해리스 대사는 지난 1월 외신 인터뷰에서 "나는 일본계 미국인이라는 출신 배경 때문에 여기(한국) 미디어들, 특히 소셜미디어들에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내 콧수염은 어떤 이유로 여기에서 일종의 상징이 됐다"고 말한 바 있다.

로이터통신은 전임자들이 평균 3년씩 재임하며 한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던 것과 달리, 재임기간 내내 한미 간 적대감이 증대돼 해리스 대사가 큰 좌절감을 느꼈을 것이라며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일각에서 해리스 대사가 다른 공직에 관심을 두고 있는 것 아니냐는 루머도 나오고 있지만 현재로선 외신의 보도가 확대해석된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보도가 나간 뒤 주한미국대사관은 입장문을 내고 "해리스 대사는 대통령의 뜻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미국을 위해 지속적으로 적극 봉사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미 국무부도 동일한 내용의 입장문을 냈다.


allday33@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