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한국지엠 군산공장 22년만에 폐쇄…지역사회 '침통'

인구 '줄고' 실업자는 '늘고'…군산경제 초토화
지역사회 "공장 가동방안 조속히 마련할 것" 요구

(군산=뉴스1) 김재수 기자 | 2018-05-31 15:25 송고
한국지엠 군산공장이 공식 폐쇄한 31일 전북 군산시 한국지엠 군산공장 정문이 적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2018.5.31/뉴스1 © News1 문요한 기자

공장 정상화의 실낱같은 희망을 가져왔던 군산지역민들은 한국지엠 군산공장에 대한 폐쇄가 31일 이뤄지면서 "결국 올 것이 오고야 말았다"며 침통한 분위기다.

더욱이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문을 닫은 데 이어 11개월 만에 한국지엠 군산공장마저 완전히 폐쇄되면서 더 큰 충격에 빠져 있다.
벌써부터 군산지역 경제는 인구 감소는 물론 부동산 시장과 연관서비스산업의 연쇄침체로 붕괴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군산공장 폐쇄로 쇼크 상태에 빠진 지역경제을 어떻게 회복시키느냐는 것이다.

◇인구 감소·실업률 상승…지역경기 '먹구름'
1996년 대우자동차 시절에 세워진 군산공장은 '누비라' 생산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가동에 나섰으며, 호황기를 누리던 2011년 군산시 수출의 52.5%, 전북수출의 30.4%를 차지할 정도로 전북경제를 견인해 왔다.

하지만 승승장구하던 군산공장은 2013년 주요 수출시장인 유럽에서 쉐보레가 철수하면서 쇠락의 길을 걸었다.

더욱이 지난해 1월에 출시된 '올 뉴 크루즈'와 '올란도'의 판매부진 등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면서 2011년 26만8000대에 달했던 생산량은 2012년 21만1000대, 2013년 14만5000대, 2014년 8만4000대, 2015년 7만대, 2016년 3만4000대, 지난해 3만3000대까지 크게 줄었다.

한국지엠 군산공장.(한국지엠 제공) © News1

가동률도 수출길이 막힌데다 내수 부진까지 겹쳐 2016년부터는 20%대로 떨어지며 사실상 회생불능 상태로 빠져 들었다.

군산시와 지역사회가 GM차량 사주기 캠페인 등의 노력을 보였지만 커다란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국 GM은 군산공장 폐쇄를 선택하면서 가동 22년 만에 문을 닫게 됐다.

공장폐쇄에 따른 영향은 각종 통계 수치에서 나타나고 있다.

협력업체의 줄도산에 이어 희망퇴직을 신청한 직원들이 다른 일자리를 찾아 떠나면서 인구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 동안 군산공장에는 정규직 근로자와 협력업체 직원 등 1만4780여명이 근무했으며, 가족(4인)들까지 포함하면 대략 4만5000여명에 이른다.

4월말 현재 군산시의 인구가 27만3882명임을 감안하면 16%가 한국지엠 군산공장과 직·간접으로 관련이 있는 셈이다.

통계청 군산사무소에 따르면 공장폐쇄가 결정된 2월 27만4228명이던 인구가 3월 27만3919명, 4월 27만3882명으로 2개월 사이에 346명이 감소했다.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결정 이후 전북 군산시 한국지엠 군산공장 인근 상가에 임대를 알리는 현수막이 붙어 있다. .2018.2.14/뉴스1 © News1 문요한 기자

특히,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의 가동 중단이 된 지난해에는 1295명의 순유출을 나타냈다.

일자리가 없어지면서 군산지역을 떠난 인구도 늘어난 셈이다.

인구 감소 폭이 지속적으로 두드러질 경우 27만명 선 마저 무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군산의 고용 지표도 악화했다.

지난해 하반기 군산의 실업률은 2.5%로 전년 1.5% 비해 1.0% 상승했고 고용률은 55.1%에서 52.6%로 2.5% 하락했다.

여기에다 생산과 소비가 줄면서 부동산시장은 물론 연관 서비스산업에 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군산공장의 지난해 경상비는 1400억원 이었으나 공장폐쇄로 인한 소비가 극도로 위축되면서  지역 요식업체 중 20%가 휴·폐업을 하는 등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이같은 상황은 부동산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군산지역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4월말 현재 아파트 미분양률이 17%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지엠 군산공장이 소재한 오식도동의 원룸 공실률도 50%에 이르고 있으며, 원룸 매매가도 5억5000만원 이던 것이 최근 들어 3억5000만원으로 30% 이상 하락했다.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를 하루 앞둔 30일 전북 군산시 한국지엠 군산공장에서 한 직원이 근무복을 손에 든 채 공장을 떠나고 있다.2018.5.30/뉴스1 © News1 문요한 기자

◇근로자 실직·협력업체 줄도산…"생계 막막"

군산공장의 폐쇄로 2040명의 직원들 중 희망퇴직 신청자와 근로계약이 만료된 직원들이 이미 떠났다.

잔류인원 612명 가운데 200명도 6월1일부터 부평공장을 비롯해 창원, 보령공장으로 전환 배치돼 흩어지게 되며, 나머지 412명은 3년간 무급 휴직하게 된다.

무급 휴직자는 올 12월까지 정부로부터 180만원의 고용유지 지원금을 받게 되며, 이후 30개월 동안은 월 225만원의 생계보조금을 지원받게 된다.

사무직은 별도로 협의를 통해 전환 배치되며, 무급 휴직자는 연말 생산직 정년퇴직으로 결원이 발생할 경우 그 인원수만큼 인력풀에 따라 추가 전환 배치된다.

아울러 군산공장의 유휴설비는 그대로 놔두고 38명의 인력이 남아 유지·보수 등의 업무를 맡게 된다.

공장폐쇄로 일감을 잃은 협력업체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군산시가 파악한 자료에 따르면 군산공장의 1·2차 협력업체 150여곳 중 문을 닫은 곳은 50여 곳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남은 협력업체도 희망퇴직 등 구조조정을 통해 근근이 경영을 유지하고 있지만 지금으로서는 별다른 활로가 없어 줄도산으로 이어질 처지에 놓여 있다.

정부는 급기야 지난 4월 위기에 처한 군산을 '고용위기·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으로 지정했지만 효과를 체감할 수 없다는 게 지역의 반응이다.

군산시의회 의장단이 군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에 한국지엠 군산공장에 대한 활용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News1

◇지역사회 "군산공장 조속한 가동방안 마련" 촉구

군산시와 군산상공회의소, 군산시의회 등 지역사회는 군산공장의 조속한 재활용 방안을 마련해 줄 것 요구하고 있다.

군산시는 "정부가 나서 군산공장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원방안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며 "제3자 매각이나 임대, 위탁생산 등 다각적인 방법을 모색해 군산공장을 조기에 가동해 붕괴 되어가고 있는 지역경제를 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군산시의회도 군산공장의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활용방안과 근로자들의 고용생존권 보장을 정부에 촉구했다.

시의회는 "지난해 6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으로 6000명의 근로자를 포함한 1만여명 이상의 인구가 군산을 떠나 군산 지역경제가 초토화 된 상태에서 정부와 GM이 군산공장 정상화 방안을 배제한 기본계약은 지역 차별"이라며 "정부는 부평·창원공장 지원에 상응하는 자금을 군산에도 투자하는 등 군산공장의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활용 방안을 즉각 추진할 것"을 요구했다.


kjs67@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