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IBS, 단결정 그래핀 성장속도 10배 이상 높이는 기술 개발

(대전ㆍ충남=뉴스1) 김태진 기자 | 2018-05-24 11:07 송고
구리-니켈(111) 단결정 합금 포일과 이를 이용해 정렬된 단일층 그래핀의 성장 공정 개념도(IBS)© News1
구리-니켈(111) 단결정 합금 포일과 이를 이용해 정렬된 단일층 그래핀의 성장 공정 개념도(IBS)© News1

국내 연구진이 단결정 구리-니켈 합금 포일(foil)을 이용해 단결정 그래핀의 성장 속도를 약 10배 이상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김두철)은 로드니 루오프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장(UNIST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연구팀이 그래핀(graphene)의 특성이 제대로 발휘되는 ‘단결정 그래핀’을 빠르게 만들 이러한 방법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현재까지 그래핀 제작에 많이 쓰는 공정인 화학기상증착법(CVD)에서는 주로 다결정 구리 기판을 촉매로 사용했다. 촉매인 구리 위에 메탄(CH₄)과 수소(H₂) 혼합 가스를 흘리면, 탄소(C)만으로 이뤄진 그래핀이 형성된다.

이때 바탕이 되는 구리의 결정 방향(crystal orientation)이 다양하므로 그래핀 역시 결정의 방향이 여럿인 ‘다결정 그래핀’으로 자라난다.

그러나 다결정 그래핀은 탄소 원자로 이뤄진 결정립(crystal grain)들이 서로 어긋나, 그래핀의 우수한 전기전자도와 전하이동도 등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때문에 과학자들은 결정이 한 방향으로 정렬된 단결정 그래핀을 만들어 그래핀의 특성을 올곧게 활용할 방법을 찾아왔다.

이에 루오프 연구팀은 구리 단결정 포일에 니켈을 더한 ‘구리-니켈 단결정 합금 포일’을 만들고 이를 기판으로 사용했다.

이때 구리-니켈 합금 포일의 표면에는 구리 원자 6개마다 니켈 원자 1개가 규칙적으로 존재하는 구리-니켈 초격자구조(Cu₆Ni superstructure)가 형성된다.

그 결과 니켈이 첨가되면서 그래핀의 원료인 메탄(CH₄) 분해에 필요한 에너지가 크게 감소했고, 구리 기판에서 60여분 동안 성장시킨 면적의 그래핀을 구리-니켈(111) 합금 기판 위에서는 5분 만에 만들 수 있었다.

연구팀은 또 그래핀 단일층에서 약 40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넓이의 ‘접힘선(fold)’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그래핀 성장이 완성되지 않았을 때 듬성듬성 생기는 그래핀 섬(graphene islands) 들이 서로 결합되는 영역에서 그래핀 접힘선이 형성되는 장면을 고분해능 투자전자현미경을 통해 세계 최초로 관찰했다.

그래핀 섬은 그래핀 단일층이 완전 형성되기 전 중간단계로, 그래핀 성장을 의도적으로 완료하지 않았을 때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열에 대한 그래핀과 금속의 부피 변화량이 달라서 나타난다. 금속 기판은 고온에서 팽창하고 냉각 시 크게 줄어든다. 하지만 고온에서 늘어난 금속 기판에서 성장한 그래핀은 냉각 시에도 별로 변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냉각 시 그래핀에 주름지듯 접힘선(3층 구조)이 나타나는 것이다.

루오프 교수는 “그래핀 접힘선은 그래핀과 금속 기판의 서로 다른 열수축 때문에 생기는 압축응력이 원인”이라며 “특히 그래핀 섬이 만나는 지점에서 압축응력이 집중되면서 접힘선이 발생하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접힘선의 존재를 제대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핀 섬들이 결합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은 다른 2차원 재료와 박막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에 지난 23일 게재됐다.


memory444444@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