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中企 53% "5년 내 스마트 제조설비 투자"…어려움 1순위 '자금부족'

중기 4차산업혁명위원회서 비공개 설문조사 보니
"정부 지원 절대부족"…스마트공장 확산정책 비판도

(서울=뉴스1) 양종곤 기자 | 2018-03-06 14:00 송고
제공 = 중기중앙회. © News1
제공 = 중기중앙회. © News1

중소기업 절반 가량은 5년 내 스마트 제조설비를 갖추기 위해 투자에 나설 의향이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들이 설비 투자의 어려움으로 꼽은 1순위는 기술 부족이 아니라 '자금 부족'이어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6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이날 중기중앙회에서 비공개로 열린 중소기업 4차 산업혁명위원회에 참석한 구본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한국의 스마트 제조 현황'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스마트 제조란 디지털 기술을 생산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다. 정부는 이 방식이 적용된 스마트 공장 확산을 국정 과제로 채택했다. 

지난해 8~9월 중소 제조기업 500곳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를 보면 스마트 제조를 도입한 기업은 14.6%에 그쳤다. 47%는 '스마트 제조 개념에 대해 모른다'고 답했는데 80%는 스마트 제조와 관련한 정부 지원 사업도 인지하지 못했다.
하지만 대부분 기업들은 스마트 제조를 통한 혁신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다. 52.6%가 '앞으로 5년 이내 스마트 제조 설비 구축을 위한 자발적인 투자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정부에서 투자금의 절반을 지원할 경우 추가로 14.4%가 투자에 나설 뜻을 전했다. 

스마트 제조 혁신의 성과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 98.8%가 '매출액 증대 효과'를 기대했는데 63.4%는 투자 이후 짧으면 3년, 길면 7년 내 투자금 회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들이 스마트 제조를 망설이는 이유는 역시 자금 부족이다. 투자 장애 요인에 대한 질문에 '자금 부족'을 꼽은 비율이 44.6%로 가장 많았다.

구본진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은 스마트 제조 도입의 필요성에 대체로 공감하고 있지만 자금 부족과 스마트 운영 부담 등을 이유로 적극적인 도입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구 연구위원은 "일부 기업만 정부의 지원 사업을 인지하고 있는만큼 정책의 효과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임춘성 공동위원장이 주재한 패널토론에서는 스마트 제조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오고갔다.

조용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메스(생산관리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으로 2억~3억원 규모의 도입 비용이 필요하지만 정부 지원 비용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며 "세제혜택 지원과 같은 간접적인 기업 지원 정책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부의 양적으로 스마트공장 늘리기 정책에 대한 우회적인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정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2만개 구축을 목표로 세웠다. 

진회승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스마트공장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제조업의 공정자동화가 아니라 소프트웨어가 주도하는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며 "'스마트 공장을 몇 개 만드냐' 보다 '스마트공장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어느 수준까지 확보하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위원회는 이날 논의 내용을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와 관련 부처에 건의할 계획이다.


ggm11@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