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북한에서도 물건살 땐 스마트폰으로…'전자결제 시스템' 사용 확대

평양 주민 10명 중 6명 물건 구매시 스마트폰 사용
편의성·감시에도 용이…구매내역 등 한 눈에 파악

(서울=뉴스1) 이창규 기자 | 2024-04-19 11:41 송고
조선중앙TV에 나온 전자결제 애플리케이션 '만물상'. (출처=미국 스팀슨센터 보고서) 2024.4.19.뉴스1
조선중앙TV에 나온 전자결제 애플리케이션 '만물상'. (출처=미국 스팀슨센터 보고서) 2024.4.19.뉴스1

우리나라의 편의점과 마트 등에서 스마트폰 결제가 일상화된 가운데 북한에서도 스마트폰을 활용한 전자결제 시스템이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북한전문매체 38노스를 운영하는 미국 싱크탱크 크림슨센터의 마틴 윌리엄스와 나탈리아 슬래브니 연구원이 지난 16일(현지시간) 발간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가 인용한 지난해 데일리NK의 보도에 따르면, 평양 주민 10명 중 6명, 평양 외곽 주민 10명 중 4명이 스마트폰을 사용해 물건을 구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스마트폰을 통한 전자결제 시스템을 활용하는 수가 더 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지방의 상점들에선 전자결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져 있지 않아서 여전히 대부분 현금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에선 △전성 △만물상 △울림과 같은 다양한 전자결제 시스템도 사용되고 있다. 이 중 만물상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간 개발된 전자결제 시스템이다.
우리나라의 전자결제 시스템이 마그네틱보안전송(MST)이나 근거리 무선통신(NFC)을 활용하는 것과는 달리 북한의 전자결제 시스템은 주로 QR코드를 활용한다. 애플리케이션에 생년월일과 카드 등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한 후 생성된 QR코드를 통해 결제하는 방식이다.

보고서는 북한에서 전자결제 시스템이 활성화될 수 있었던 이유로 편의성을 언급했다. 사용자는 많은 현금을 보유할 필요가 없고 소매치기에 대한 우려를 덜 수 있다 등의 이유에서다.

또한 북한 당국이 효율적인 감시를 위해 전자결제 시스템 활용을 권장하는 점도 시스템 확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상점에서 (전자결제를 위해) QR코드를 스캔할 경우 물건 구매 내역 등을 확인할 수 있어 당국에겐 현금 거래보다 감시 이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yellowapollo@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