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코로나가 불붙인 '헬스케어' 전쟁…글로벌 공룡들 인수전 '총알' 장전

[AI 입은 디지털헬스케어④]아마존·MS 과감한 인수 추진
네카오, 의료기관과 협업·투자…업계 "충분한 정책 필요"

(서울=뉴스1) 오현주 기자 | 2024-01-04 06:20 송고
디지털 헬스케어 © News1 DB
디지털 헬스케어 © News1 DB

국내외 주요 정보기술(IT) 기업이 미래 먹거리로 '디지털 헬스케어(건강관리)'를 점찍었다. 대면 치료가 어려운 팬데믹 시대에 크게 떠오른 헬스케어 분야의 성장세에 주목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테크 기업은 올해도 신사업인 디지털 헬스케어에 집중한다. 전 세계 사용자에게 얻은 데이터와 기술을 붙여 성장 가능성이 높은 헬스케어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았다. 
KDB 미래전략연구소 분석 결과 최근 10여 년간 전 세계 IT 기업의 헬스케어 특허 출원 수는 300 건 이상이다. 

◇팬데믹 속 떠오른 '디지털 헬스케어'…아마존·MS 등 美빅테크 기업, 과감한 인수 전략 

'디지털 헬스케어'는 기존 의료 시스템에 인공지능(AI) 등 IT 기술을 결합해 개인 맞춤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높여주는 기술이다. 
시스템 생물학 선구자 리로이 후드가 2000년대 중반 4P(포피) 개념을 소개하면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는 △예측(Predictive) △맞춤(Personalized) △예방(Preventive) △환자 참여(Participatory)를 지향하게 됐다.

특히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맞으면서 전환점을 맞았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당시 한 해 동안 신규 헬스케어 앱은 무려 9만 건 이상을 기록했다.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 마이크로소프트 최고경영자. 2018.11.7/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 마이크로소프트 최고경영자. 2018.11.7/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헬스케어 산업의 성장세는 수치로도 드러난다. 시장조사기관 GIA(글로벌 인더스트리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2020년 1525억달러(약 198조) 규모에서 매년 19%씩 성장해 2027년 5088억달러(652조)까지 커질 전망이다. 

헬스케어 분야 승기를 잡기 위해 각자 꺼낸 카드는 다양하다.

아마존은 주로 인수 전략을 펼쳤다. 2018년 온라인 약국 스타트업 필팩을 인수해 2020년 처방약 배송 서비스를 '아마존 파머시'를 시작했다. 또 원격 의료 스타트업 '헬스 내비게이터'(2019년)와 '원메디컬'(2022년)을 인수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도 마찬가지다. MS는 2021년 애플 AI 비서 '시리'에 기술을 제공한 의료분야 음성인식 스타트업 '뉘앙스'를 인수했다. 이와 함께 MS는 의료 특화 CSP(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솔루션을 내놨고, 환자 진료에 도움을 주는 생성형 AI 챗봇(채팅 로봇) '애저 AI 헬스 봇'도 곧 출시한다. 

웨어러블(입는) 기기를 적극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삼성전자(005930)와 애플은 스마트폰·스마트워치를 통해 모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건강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구글은 2021년 웨어러블 업체 '핏빗'을 인수하면서 헬스케어 시장에 승부수를 던졌다. 핏빗은 100개 이상 국가에서 팔리는 스마트워치로, 여기서 확보된 데이터는 구글 헬스케어 사업 전반에 쓰이는 기초 자료가 될 전망이다. 

◇토종 기업은 의료 기관과 협업·투자 추진…업계 "충분한 정책 뒷받침 필요"

국내 토종 플랫폼 기업도 헬스케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로 의료 기관과 협업하거나 투자하는 형태다. 네이버(035420)는 2019년 대웅제약(069620)·분당서울대병원과 함께 AI 기반 진단기업 '다나아데이터'를 설립했다. 또 2020년 헬스케어 연구소를 세우고, 2021년 AI 의료영상 진단업체 '루닛'에 투자했다. EMR(전자의무기록) 업체인 이지케어텍(2021년)·메디블록(2020년)에도 투자를 단행했다.  

또 카카오(035720)는 연세의료원·KT와 협업해 2019년 의료 전문기업 '파이디지털헬스케어'를 설립했다. 2022년에는 헬스케어 전문 기업 '카카오헬스케어'를 세웠고, 연내 AI 기반 당뇨관리 솔루션 '파스타'를 선보일 예정이다. 

다만 국내 시장의 경우 정부의 충분한 정책이 뒷받침 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짙다. 미국과 유럽의 경우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등에 업고 급성장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전 세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에서 비중이 1%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KDB 연구소는 보고서에서 "미국·독일·일본 같은 주요국에서는 관련 법 제정, 원격진료 허용 등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 여건이 형성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의료정보 활용, 빅데이터 구축 등 헬스케어 분야를 둘러싼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woobi123@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