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카카오 회식비 제한·출근제 두고 부글…'불협화음'

카카오, 조직장 결정 하게 근무제 선택게 해…의견차 ↑
회식비 논란과 더불어 노조 가입률 절반 육박

(서울=뉴스1) 박소은 기자 | 2023-03-05 06:30 송고 | 2023-03-05 13:53 최종수정
민주노총 화섬노조 카카오지회 조합원들이 17일 오전 경기 성남시 카카오 판교아지트에서 '크루유니언 책임과 약속 2023'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카카오지회는 이날 간담회에서 카카오 공동체 문제점과 과제, 카카오 측의 책임과 약속을 위한 요구 사항 등을 밝혔다. 2023.1.17/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민주노총 화섬노조 카카오지회 조합원들이 17일 오전 경기 성남시 카카오 판교아지트에서 '크루유니언 책임과 약속 2023'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카카오지회는 이날 간담회에서 카카오 공동체 문제점과 과제, 카카오 측의 책임과 약속을 위한 요구 사항 등을 밝혔다. 2023.1.17/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카카오가 긴축경영을 본격화하고 재택근무 종료를 결정하며 내부 불협화음이 이어지고 있다. 직원들의 회식비를 인당 5만원 이하로 제한하는 가이드라인을 전달한 데 더해, 근무제를 둘러싼 사내 의견 수렴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고 있어서다.

홍은택 대표의 스톡옵션 논란에 이어 회식비, 근무제까지 갈등이 이어지며 카카오 노조의 가입률이 절반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의 근무제는 오피스 출근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업무 특성에 따라 조직마다 출근/재택 여부를 정하게 했다. 일례로 조직장이 팀 내 투표를 통해 근무제에 대한 의견을 취합하거나, 조직 내 논의를 거치는 식이다.

일부 조직에서는 조직장이 구성원의 투표를 무시하고 전체 출근을 강행했다가, 내부의 반발을 산 것으로 확인됐다. 팀내 주 3회 출근, 주 2회 출근 등 다양한 근무 제도가 산출됐는데 투표 결과를 뒤집으면서 발생한 일이다.

직원 불만이 거세지자 이후 조직장은 해당 방침을 철회했다. 카카오는 현재 조직장이 출근 제도를 강요하지 않게 가이드라인을 전달하는 중이다.
카카오 한 직원은 "당시 인사팀에 문의했을 때 다양한 제도를 (투표로) 올려서 탑다운했다 보기 어렵다는 답을 받았었다"며 "내부 협의 없이 통보한 게 문제"라고 말했다.

더불어 전날 카카오 공동체 노동조합 '크루 유니언'은 사내에 전단지를 배포했다. 노조는 "다수의 공동체에서 갑자기 회식비가 (인당) 5만원으로 제한됐다"라며 "회식비 제한의 이유는 무엇인지, 왜 금액은 5만원인지 알려진 사실은 하나 없지만 이미 시행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일방적인 근무제 발표로 큰 혼란을 겪었음에도 경영진은 전혀 달라진 것이 없다"라며 "설명을 위한 최소한의 노력조차 사라졌다"고 덧붙였다.

카카오는 그간 회식비 등을 포함하는 팀웍향상비를 금액 제한 없이 제공했다. 최근 사용 기준을 명확히 설정하기 위해 팀웍향상비를 인당 월 5만원으로 규정했다.

내부 불만이 축적되며 2월말 기준 카카오 노조 가입 인원이 과반을 달성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가 사무실 출근을 우선으로 하는 근무제 발표 직전까지 본사의 노조 가입률이 10% 수준이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사외이사, 겸직자, 휴직자 등의 인원 변동으로 확정할 수는 없는 단계다.


soso@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