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경제 >

[2015 인구주택총조사①] 삼한시대 '호구조사'가 기원…현대엔 국가 필수 데이터

(세종=뉴스1) 최경환 기자, 김명은 기자 | 2015-10-06 09:47 송고 | 2015-10-08 14:14 최종수정
광복절 연휴 마지막날인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경복궁을 찾은 시민들. 2015.8.16/뉴스1 © News1 고성준 인턴기자
광복절 연휴 마지막날인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경복궁을 찾은 시민들. 2015.8.16/뉴스1 © News1 고성준 인턴기자
"나이는 몇살이냐." "결혼은 했느냐." "집은 어디냐." "무슨일 하느냐."

대개 이런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이 쏟아지면 "왜 묻냐? 호구조사 나왔냐?"고 핀잔을 놓게 마련이다. 이 때 말하는 호구조사(戶口調査)가 우리나라 인구조사의 기원이다.
통계청이 올해 인구주택총조사를 실시한다. 5년마다 실시하는 총조사는 우리나라 모든 사람, 가구, 거처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한다. 국가 주요정책의 기초 자료가 될 뿐 아니라 민간 연구소와 기업들에 소중한 자료다. 최근엔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첨단 시대지만 사실 통계 수집은 고대시대부터 시작된 인간의 기본 활동이었다. 

◇'호구조사'가 인구주택총조사의 기원

우리나라 인구조사는 삼한시대부터 시작돼 삼국시대, 고려.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호구조사라는 명칭으로 실시돼 왔다.

고려시대엔 호구조사로 불린 인구조사와 양전(量田)에 해당하는 토지조사로 나뉘어 진행됐는데 인구 통계는 조사된 기록은 있으나 내용까지 남아있지는 않다. '고려사', '고려사절요', 주변국 사료를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당시엔 3년마다 조사가 이뤄졌고 2통의 자료를 만들어 관아와 자가(自家)에서 각각 보관하도록 했다.
서양 인구조사의 기원은 고대 바빌로니아(BC 3600년경)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하지만 인구조사를 실시했다는 사실 자체만 기록으로 남았을 뿐 실제 결과까지 알려져 있진 않다.

고대 로마제국의 인구조사 결과는 지금도 전해지고 있는데 오늘날 전수조사의 영문 이름인 센서스(Census)가 당시 인구조사 책임자였던 켄소르(Censor)에서 유래한다.

5년 마다 선출된 켄소르는 국가 재정 전반을 관리하며 막강한 권한을 행사했다.

로마는 당시 세금 징수와 징병을 위해 인구조사를 했다. 그 때문에 조사 대상을 세금을 낼 수 있는 남성 시민권자로 한정했다. 

◇근대적 의미의 인구조사는 언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1925년에 근대적 의미의 인구조사인 인구총조사가 처음 실시됐다. 이후 5년을 주기로 총 18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당시 조사 항목은 성씨, 성별, 생년월일, 배우자 관계, 본적, 국적 등 대여섯 개에 불과했다.

그러다 주택에 관한 조사가 함께 시행된 1960년부터 조사 항목은 36개로 늘어났다.

문맹 여부, 변소의 형태, 대청마루의 유무와 평수, 지붕의 주요 자재 등 상당히 구체적인 내용까지 포함됐고, 직업을 물을 때는 '주로 한 일'과 '조금이라도 한 일'로 구분하기도 했다.

조사방법과 기술의 진전으로 이때부터 표본이론과 현대적인 전산처리방식이 도입됐다. 

2000년대 이후엔 조사 항목에 시대적 과제가 반영됐다. 

2000년 조사에서 인터넷이나 컴퓨터 활용 여부 등 정보기술 관련 항목이 대거 포함됐으며, 2005년엔  저출산·고령화·주거의 질 및 복지관련 항목을 강화했다. 또 2010년엔 저탄소·녹색성장 항목이 추가됐다.

서양에서의 근대적 인구조사는 1790년 미국에서 최초로 실시됐다. 앞서 1787년에 제정된 헌법에 인구센서스 실시 규정이 들어가 있었다.
대한민국의 중심지 서울 중구 명동거리가 인파로 가득하다. 2015.10.4/뉴스1 © News1 변지은 인턴기자
대한민국의 중심지 서울 중구 명동거리가 인파로 가득하다. 2015.10.4/뉴스1 © News1 변지은 인턴기자
◇시대별로 인구조사 목적과 방식은 변화했다

인구(주택)총조사는 90년의 역사를 이어오는 동안 시대 흐름에 맞게 목적과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1930년 조선 국세조사라는 명칭으로 불린 인구총조사에서 처음으로 직업 등 경제활동 사항이 포함됐고 1949년엔 인구이동 사항을 조사했다. 주택에 관한 조사가 처음 실시된 1960년엔 노동력 개념을 설정했고, 경제활동과 출산력 수준을 20% 표본집계를 통해 알아냈다.

이후 조사에서는 경제활동, 출산력, 인구이동 항목에 대해 5~15% 표본조사를 병행 실시했다.

1985년엔 전 항목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했고, 성씨, 본관 및 종교에 관한 조사가 이뤄졌다.

1990년 조사에선 광학판독 자료입력 방식(OMR System) 도입됐고, 1995년엔 빈집조사표를 이용한 빈집조사가 실시됐다.

2005년엔 인터넷 조사방식과 웹 기반 현지 자료입력 방식이 도입됐다.

가장 최근인 2010년에는 손으로 입력한 문자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기술인 지능형 문자 인식(ICR:Intelligent Character Recognition) 자료입력 방식을 선보였다.

◇우리나라 남녀 성비 역전은 3차례

1925년 조사에서 조선 인구는 1902만명으로 집계됐다. 남자가 972만6000명, 여자가 929만4000명이었다. 남녀 성비는 104.65명(남자수/여자수)이였다.

이후 인구도 꾸준히 증가했고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으나 해방 직전인 1944년 조사에서 남녀 성비가 역전됐다. 당시 인구는 2512만명으로 집계됐고, 남자가 1250만명, 여자가 1260만명이었다. 남녀 성비는 99.38명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많았다.

1949년 조사에서 다시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으며 이후 줄곧 같은 흐름을 유지하다 2005년과 2010년 조사에서 성비 역전(99.53명, 99.4명)이 이뤄졌다. 

전체 인구수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듬해인 1949년에 실시된 조사에서 2020만명으로 감소한 것을 제외하곤 줄곧 증가세를 나타냈다.  

◇총조사의 의미 

유경준 통계청장이 지난달 12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2015 인구주택총조사 자문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통계청 제공) 2015.9.12/뉴스1
'통계 중의 통계'라 할수 있는 인구주택총조사는 모든 통계의 기준이 되는 벤치마크 통계로 각종 가구분야 표본조사의 모집단 및 포본틀로 할용된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인구, 가구, 주택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파악한다. 총조사 자료는 다양한 2차 가공통계를 작성하는 토대가 된다. 민간기관, 대학·연구기관, 기업에서 연구자료나 마케팅자료로도 활용된다. 

올해 총조사를 앞두고 각급 청·차장이 직접 17개 시도를 방문해 자치단체장을 만나 등록센서스 방식 도입 계획를 알리고 협조를 당부했다.

유경준 통계청장은 "2015 인구주택총조사는 저출산·고령화 등을 포함한 우리 사회의 변화상을 읽고 국민행복을 위한 맞춤형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 가장 중요한 통계조사"라며 "조사 응답자로 선정된 분들이 국민을 대표하면서 동시에 자신과 이웃, 후손의 미래에 도움이 된다는 마음으로 적극적으로 조사에 협조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drama@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