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바웨이브 김준엽 대표, KAIST 사이버보안연구센터 자문위원 위촉

인터넷 기반 사이버 범죄 탐지 및 능동형 수집·추적·대응 기술 연구

라바웨이브의 김준엽 대표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사이버보안연구센터 '사이버 범죄 분석' 연구 분야 자문위원으로 위촉됐다.(라바웨이브 제공)
라바웨이브의 김준엽 대표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사이버보안연구센터 '사이버 범죄 분석' 연구 분야 자문위원으로 위촉됐다.(라바웨이브 제공)

(서울=뉴스1) 이강 기자 = 라바웨이브는 김준엽 대표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사이버보안연구센터 '사이버 범죄 분석' 연구 분야 자문위원으로 위촉됐다고 21일 밝혔다.

사이버보안연구센터의 '사이버 범죄 분석' 분야에서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사이버 범죄 탐지 및 능동형 수집·추적·대응 기술을 연구한다.

연구 목적과 분야에는 △안전한 사이버 환경 구축을 위한 사이버 범죄 탐지 및 운영자 추적 기술 개발 △지능화·고도화되는 사이버 범죄 특징에 대한 AI·기계학습 기반 분석 및 식별 △대규모로 빠르게 유포되는 사이버 범죄 탐지를 위한 고속·범용·능동형 크롤러 등이 있다.

라바웨이브는 사이버보안연구센터가 추구하는 '신뢰할 수 있는 기술로 구현하는 사회'를 핵심 가치로 삼는다는 점에서 상호협력 시 범죄예방과 국가 사이버안보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자문위원 위촉 외에도 정부 또는 수사 관련 기관들과 공조하고 사이버 범죄의 예방과 특허·등록된 기술을 활용한 사후보완적 활동에도 집중해 온 바 있다.

한편 라바웨이브는 몸캠피싱 등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보호 및 유포 방지 활동을 주축으로 보이스피싱, 딥페이크 등 사회적 이슈에 대응하고 있다.

김준엽 라바웨이브 대표는 "사이버 범죄 대응 전문가로 축적해 온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국과학기술원 사이버보안연구센터의 '사이버 범죄 분석' 연구 분야, 특히 청소년들이 AI 기술을 악용해 미래세대의 사회적 이슈로 자리 잡은 딥페이크 예방 연구 및 기술의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thisriv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