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장병 75% 아파도 제때 치료 못받아…의료지원 구금시설 비슷"

인권위 '장병 건강권 보장 및 군 의료체계 개선 토론회' 
설문조사 결과, 병사 75.2% "제때 진료 받지 못했다" 응답

[편집자주]

최영애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이 25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열린 장병 건강권 보장 및 군 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토론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1.5.25/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김명희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연구소 연구원은 "장병의 의료자원의 가용성과 물리적 접근성 문제는 구금시설 재소자들과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밝혔다.

국가인권위원회는 25일 오후 2시 '장병 건강권 보장 및 군 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군 의료체계 실태조사를 진행한 김대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책임연구원)는 복무 중 군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병사 637명을 조사한 결과, 75.2%가 "지난 1년 동안 진료 또는 검사를 받아 볼 필요가 있었으나 제때 받지 못했다"고 답했다고 발표했다.

그 원인으로는 '증상이 가볍거나 시간이 지나면 좋아질 것 같아서'(46.2%)가 가장 많았고  '훈련, 근무 때문에 의료기관에 갈 시간적 여유가 없거나 근무지를 비울 수 없어서'(44.9%)가 두 번째로 많은 응답이었다.



'부대 분위기상 아프다고 말하기 어려워서' '군 의료시설에 갔지만 대기 시간이 너무 길어서' '부대에서 정한 단체 외진 날짜에 일정을 맞출 수 없어서' '군 의료인에게 적절한 상담을 받지 못해서'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연구 결과 △평소 건강 상태가 좋지 못할수록 △타인이 알기 어려운 증상을 가질수록 △업무부담이 상대적으로 클수록 △입대 전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아플 때 아프다고 말하기 어려워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박미숙 군피해지유센터 '함께' 위원은 "장병 한 사람의 건강권은 생명과 연결되며, 본인뿐만 아닌 그 가족의 삶과 사회가 달린 문제"라며 "어떤 것보다도 최우선되어야 하며 과잉대응해도 좋을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박 위원은 군 의료과실로 아들을 떠나보냈다.  박 위원의 아들은 뇌출혈이 발생했지만 군에서는 감기약을 처방해줘 치료 시기를 놓친 탓에 목숨을 잃었다.

실태조사 자문을 맡은 김명희 연구원은 "사단급 일차 보건의료 체계를 구축하고 군 병원, 지역공공병원, 혹은 지역거점 민간병원과의 '의뢰 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은 "의료인력 역시 의무사령부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개편해야 한다"면서 "군의료시설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국군수도병원 등 병원급 의료시설을 민간에 개방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emingway@news1.kr

많이 본 뉴스

  1. 이재명 "이토 히로부미 손자가 '라인' 침탈, 한국 정부는 멍~"
  2. "이토록 잔인할수가"…부검의도 경악한 학부모 모임 참극
  3. 이민우 "20년 절친이 전재산 26억 갈취…'쓰레기 XX' 자해"
  4. "임영웅이 참외 들고 왔더라" 콘서트 연습실 이웃 미담 공개
  5. 애둘 재혼남, 초혼 아내에 "시험관 출산 원하면 시댁쪽 이사"
  6. 처제 성폭행, 아들 낳게 한 형부…아들 형부 닮자 죽인 처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