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근로자 어려움 1순위는 ‘의사소통·편견’

경기가족여성硏 “다양한 프로그램 마련 필요”

[편집자주]

일상생활에서 겪는 경기도내 외국인근로자들의 가장 큰 고충은 '의사소통' 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지난 2016년 시흥시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체육관에서 외국인 근로자들이 국민권익위원회 조사관들에게 고충상담을 받고 있는 모습. 2016.12.18/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경기지역 외국인근로자들은 일상생활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의사소통’ ‘편견’ 등을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서비스 이용률은 ‘한국어 교육’ ‘노동·산재·비자 상담’ 등 순이었고, 한국에서 차별받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약 60%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 같은 내용은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경기도 외국인근로자 지원방안 연구’(연구책임 최영미 연구위원) 보고서 작성을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설문조사는 도내 외국인복지센터 7곳의 협조를 받아 진행했고, 지역당 100개의 표집할당을 해 684개의 설문을 회수했지만 정확하지 않은 정보 기재로 인해 사용이 불가능한 설문을 제외한 668개를 분석에 사용했다.



‘한국에서 외국인근로자로 생활하면서 경험하는 가장 큰 어려움’에 대해서는 ‘한국어 중심의 의사소통, 언어문제’가 58.4%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한국인들의 편견과 차별대우’(23.7%) ‘한국문화, 습관, 생활방식 등 문화 차이’(21.9%) ‘의료비 부담’(15.7%) 순이었다.

도내에서 제공되는 이주민 관련 사회서비스 이용과 관련해서는 ‘한국어 교육’이 64.1%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체불임금 등 노동·산재·비자 상담’(42.3%) ‘통·번역 서비스’(38.9%) ‘의료·산업재해’(38.7%) ‘귀환 관련 교육’(30.9%) ‘자조 모임 및 국가별 공동체 활동 지원’(30.8%) 등이 있었다.

행정·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 시 어려운 점도 조사했다.

서비스 이용 시의 어려움으로는 ‘서비스 이용절차를 잘 모른다’(36.2%) ‘말이 잘 통하지 않는다’(33.6%) ‘서비스를 제공 받을 시간이 없다’(30.3%) 등의 응답이 나왔다.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외국인근로자라는 이유로 차별받은 경험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그렇다’ 59.2%, ‘아니다’ 40.8%로 나타났다.

가족여성연구원 최영미 연구위원은 “이번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앞으로의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신규 사업은 이들의 정책 욕구를 기술적으로 반영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매개적 조치들을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의 외국인근로자 지원정책은 중앙정부 위주의 일괄적인 정책 및 프로그램에 집중돼 있다”며 “이들이 요구하는 정책수요를 반영하는 등 수요자 맞춤형 사업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syh@

많이 본 뉴스

  1. 임주리 "유부남에 속아서 아이 임신…하루 수입 1800만원"
  2. 판사출신 변호사 "민희진 배임? 방시혁은 에스파 폭행사주냐"
  3. "국이 국이 조국입니다"…개그맨 패러디에 조국 '뜻밖 한마디'
  4. 박명수 "짝사랑했던 정선희? 보고 싶었다…마음 설레"
  5. 마이크 내려놓은 '가황' 나훈아의 라스트 "정말 고마웠습니다"
  6. 이혼 서유리 "전 남편 최병길, 살 많이 쪄 보기 힘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