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의 탄핵 정국 5일, 朴대통령 퇴진 시점 밝힐까

與 비주류 회동 불투명…靑, 장고 거듭

[편집자주]

 4일 오전 서울 광화문에서 바라본 청와대 앞 신호등에 빨간불이 켜져있다. 2016.12.4/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9일 국회의 탄핵소추안 본회의 표결을 앞두고 퇴진 시점을 밝힐지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국회의 결정에 맡기겠다"(11월29일 3차 대국민 담화)면서 자신의 거취 문제를 국회에 넘겼으나 탄핵안 가결의 키를 쥔 새누리당 비주류로부터 '4월 퇴진과 2선 후퇴 천명'이라는 공을 다시 넘겨받은 상태.

야당이 최종적으로 박 대통령 입장과 관계 없이 오는 9일 탄핵안을 표결할 계획인 데다, 새누리당 비주류가 박 대통령 입장 표명 시한을 오는 7일 오후 6시로 잡은 만큼 박 대통령의 입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4일 뉴스1과 한 통화에서 "박 대통령께서 지금 여러 가지로 살펴보고 고심하고 있다"며 "본인의 입장을 나름대로 고민하시는 건 분명하다"고 말했다.



아직까지 정해진 건 없는 상황이다. 박 대통령이 새누리당 비주류를 만나 자신의 구상을 설명하고 탄핵안 표결 전 설득에 나설 것이란 전망도 나왔으나 당장은 불투명해진 분위기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오늘) 비상시국위원회 회의 상황도 봐야 한다"고 했고, 새누리당 비주류가 모인 비상시국위 대변인인 황영철 의원 역시 "대통령 면담이 큰 의미가 있겠냐는 의견이 다수였다"고 반응했다.

박 대통령이 퇴진 시점을 못박아도 비상시국위 내에서 여야 협의 여부에 따라 탄핵 표결에 참여할지에 이견이 있는 만큼 자리가 쉽게 성사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박 대통령 즉각 퇴진을 요구하는 여론의 화살이 탄핵안 가결 여부를 쥐고 있는 새누리당 비주류에 쏠려 있어 이러한 비판적 분위기도 고려됐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퇴진 시점을 명확히 한다면 '4월 퇴진과 6월 조기 대선' 일정을 당론으로 채택한 새누리당의 표 단속을 단단히 할 수 있고, 3차 담화 이후 흔들리는 비주류 진용의 표결 불참 명분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맥락에서 박 대통령이 어떤 형식으로든 7일 전후 입장을 밝힐 가능성이 상당하다.  

박 대통령의 퇴진 시점 선언에 회의적인 관측도 청와대 안팎에서 적잖은 것으로 알려졌다. 야당과 무소속 의원들이 오는 9일 탄핵 표결을 추진하기로 한 마당에 여야 협상 여지를 더 줄이고, 여론 악화마저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전날(3일) 전국 촛불집회 참여 인원이 주최 측 추산 232만명으로 헌정 사상 최대 기록을 다시 쓴 것을 두고 탄핵 민심을 재확인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여야 협의를 통한 개헌에 무게를 둔 박 대통령의 조건부 퇴진 선언이 외려 민심을 돌아서게 해, 정치권이 탄핵 압박을 더 받게 됐단 것이다.

여당 비주류와의 회동이 아니더라도 박 대통령이 7일 전후 기자회견이나 담화 등과 같은 형식을 빌려 탄핵 전 입장을 밝힐 가능성도 거론됐으나 청와대는 아직 일정과 형식을 모두 논의중이다.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의 직접적인 입장 표명이 특검 수사 일정 등까지 감안, 좀더 미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박 대통령이 3차 담화에서 "이번 사건에 대한 경위는 가까운 시일 안에 소상히 말씀을 드리겠다"고 한 만큼 특검이 수사를 개시하기 전 입장을 밝힐 것이란 관측이다.

일각에선 5일 최순실씨(최서원으로 개명) 국정 농단 의혹 사건 관련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의 대통령비서실 대상 기관보고에 주목하기도 한다. 청와대 참모진들이 현 정국과 관련해 입장을 표명할 것이기 때문이다.

girin@

많이 본 뉴스

  1. 옥중 결혼 꿈꾼 무기수 5일 휴가, 청혼 거절에 "헛되다" 유서
  2. 한혜진 "제발 오지마" 호소…홍천별장 CCTV 찍힌 승용차 소름
  3. 한소희 '프랑스 대학 합격' 거짓말? "예능서 얘기 편집돼 와전"
  4. 유재환 "X파 있다, 섹시 토크도…예비 신부? 내 배다른 동생"
  5. 김희정, 셔츠 한 장 안에 비키니 입고 글래머 몸매 인증
  6. 담배연기가…기안84 'SNL 코리아 5' 방영 중 실내 흡연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