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적 모델로 세포의 유전자 발현 조절 능력 설명"

'역동적 반응 네트워크 모델' 및 '수학적 방법론' 도입
중앙대 성재영 교수 연구팀

[편집자주]

세포 환경 하에서의 역동적 반응 과정의 개념도.© News1
생명 현상의 근간이 되는 세포의 유전자 발현 조절 능력을 설명하는 수학적 모델이 제시돼 향후 새로운 의료기술 개발 등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은 20일 중앙대 성재영 교수 연구팀이 '역동적 반응 네트워크 모델' 및 '수학적 방법론'을 도입, 세포 유전자 발현 조절 능력을 세계 최초로 설명해냈다고 밝혔다.

생명현상을 세포 내 화학 반응 차원에서 이해하려는 시스템 생물학에서는 파울리가 지난 1928년 개발한 마스터 방정식* 접근법을 오랫동안 사용해 왔다.

하지만 이 방법은 플라스크처럼 균일한 환경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에 대해서는 정확한 설명이 가능하지만 세포처럼 균일하지 못한 환경에 대해서는 불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세포 내 많은 환경 변수들과 상호작용하는 화학반응 과정을 나타낸 '역동적 반응 과정' 개념을 도입, 역동적 반응과정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는 방정식을 수립했다.

역동적 반응과정으로 생성되는 생성물 개수의 요동이 반응 속도 요동과 생성물이 소멸되는 속도에 의존하는 양상.© News1
이후 세포의 유전자 발현 과정을 역동적 유전자 발현 반응 네트워크**로 모델링 후 이를 정확히 기술하는 방정식을 수립했다는 설명이다.

연구진은 이를 통해 유전자 발현 결과물인 단백질 개수의 평균과 분산 등 실험 관찰량들에 관한 간단한 수학적 결과를 얻어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배아 세포의 분열 시간 조절 원리, 심장세포 박동 시간 조절 현상 등 세포 시스템의 '생명조절기능'을 수학적 혹은 물리화학적으로 이해하는데도 활용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성 교수는 "이번 연구는 향후 응용 연구를 통해 세포들의 생체기능 조절능력을 회복시키는 방향의 새로운 의료기술 개발에도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중앙대 성재영 교수.© News1
성 교수 연구팀은 복잡한 세포 환경효과를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모델, 수학적 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미래부와 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및 국가지정중점연구소사업을 통해 수행했다.

연구 결과는 물리과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피지컬리뷰엑스(Physical Review X) 10월 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마스터 방정식(Master equation) : 오스트리아의 이론 물리학자인 볼프강 에른스트 파울리(Wolfgang Ernst Pauli)가 1928년 개발한 방정식.
** 유전자 발현 반응 네트워크 : DNA로부터 메신저 RNA가 만들어 지고, 메신저 RNA로부터 실제 생체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이 생성되는 일련의 반응 과정들이 이루는 네트워크.

etouch84@news1.kr

많이 본 뉴스

  1. 한혜진 "제발 오지마" 호소…홍천별장 CCTV 찍힌 승용차 소름
  2. 임주리 "유부남에 속아서 아이 임신…하루 수입 1800만원"
  3. 한소희 '프랑스 대학 합격' 거짓말? "예능서 얘기 편집돼 와전"
  4. 박명수 "짝사랑했던 정선희? 보고 싶었다…마음 설레"
  5. 김희정, 셔츠 한 장 안에 비키니 입고 글래머 몸매 인증
  6. 판사출신 변호사 "민희진 배임? 방시혁은 에스파 폭행사주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