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초반 경력단절 여성, 평균 월급차 52만원

경력단절 여성 월급 149.6만원...단절 없는 여성 204.4만원
여가부, 경력단절 후 다시 취업한 적 없는 여성은 3명에 1명
2013년 경력단절 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결과 발표

[편집자주]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과 관계부처 장관들이 지난 4일 일하는 여성을 위한 생애주기별 경력유지 지원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직장생활을 하다 출산 등의 이유로 경력단절을 겪은 30대 초반 여성은 경력단절 경험이 없는 여성에 비해 비해 월급이 51만9000원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지난해 전국 25~59세의 결혼, 임신 또는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 585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경력단절여성 등 경제활동 실태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경력단절 실태조사는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법에 따라 3년마다 실시하는 국가통계로 이번이 첫번째다.

조사대상 총 5854명 중 취업경험이 있는 여성은 5493명, 취업경험 있는 여성 중 경력단절 여성은 3185명(58%)으로 나타났다. 또 경력단절여성 중 취업여성은 1548명(48.6%), 비취업 여성은 1,637명(51.4%)로 조사됐다.

경력단절 여성 중 재취업한 경험 있는 여성 비율은 66.3%(2112명), 경력단절 후 한번도 취업한 적이 없는 비취업 여성은 33.7%(1,073명)였다.

재취업 경력단절 여성 중 재취업한 일자리를 이직 없이 유지하고 있는 여성 비율은 41.4%(875명), 재취업 후 다시 경력이 단절되어 비취업 상태인 여성 비율은 26.7%(564명)로 조사됐다.

취업 경력단절여성의 월평균 임금(소득)은 149만6000원으로 경력단절 없는 취업여성 월평균 임금(소득) 204만4000원의 73.2%에 불과했다.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 후 재취업시 월평균 임금(소득)은 121만9000원이며 경력단절 당시 144만원의 84.7%수준으로 월 평균 22만원이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30~34세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 전후 임금(소득) 차이는 51.9만원으로 가장 컸다.

재취업 업종별로는 경력단절 당시보다 경력단절 이후에 제조업 취업비율은 줄고(33.9%→16.8%), 도소매업이 다소 늘어나며(17.0%→20.9%), 숙박 및 음식점업은 3.8배(2.8%→10.7%)로 늘어났다.

직종별로는 경력단절 당시보다 경력단절 이후에 사무직은 크게 줄고(39.4%→16.4%), 서비스 판매직은 크게 늘어났다(14.9%→37.0%).

4인 이하 영세사업장에 취업한 비율은 20%에서 42.9%로 2배 이상 높아지고 상용 근로자 비율은 87.2%에서 58.6%로 낮아졌다.

재취업 경력단절여성이 재취업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요소는 '적정한 수입'(50.3%), '근무시간 조정 가능성'(29.9%), '자신의 적성'(24.5%), '출퇴근 거리'(22.4%) 등이었다.

30~34세에서는 '근무시간 조정 가능성'이 41.6%로 가장 높고 대졸 이상에서 '자신의 적성'이 42.7%로 가장 높았다.

재취업 경력단절여성이 재취업할 때 어려운 점은 '자녀양육 및 보육의 어려움'(41.1%), '일자리 경험 및 경력 부족'(25.3%), '가족의 가사노동 분담 부족'(23.4%) 등이었으며 30∼34세 여성(64.3%)과 35~39세 여성(54.1%)에서는 '자녀양육 및 보육의 어려움'을 겪은 비율이 특히 높게 나타났다.

비취업 경력단절여성 중 일할 의사가 있는 여성 비율은 53.1%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이후 취업 경험이 있는 여성의 일할 의사(61.5%)가 취업 경험이 없는 여성들의 일할 의사(48.9%)에 비해 높으며 막내 자녀의 연령이 2세 이하인 경우 일할 의사(71.8%)가 가장 높고, 9~13세의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여성들의 일할 의사도 65.5%로 매우 높았다.

취업 여성들 중 1년 안에 현재 일자리를 사직할 의사가 있는 여성 비율은 11.8%이며, 20~30대가 16.4%로 40~50대 이후(10.3%)보다 높았다.

비취업 경력단절여성들이 재취업을 위해 희망하는 정부정책(복수 응답)은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37.2%), '연령차별 해소 노력'(26.5%), '여성능력 개발을 위한 직업훈련 지원'(23.6%), '직장·국공립 보육시설 확충과 보육 지원'(19.0%), '가족친화적 기업문화조성'(17.3%) 등이었다.

취업 여성들이 경력단절예방을 위해 원하는 정부 정책(복수 응답)으로는 '연령차별 해소 노력'(32.2%), '지속적 능력개발을 위한 경력개발 지원'(29.8%), '장시간 근로문화개선'(26.2%), '유연근무제 확대’'(22.0%), '직장·국공립 보육시설 확충과 보육지원'(22.3%),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조직문화'(21.3%), '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직장 문화(13.8%) 등이었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반영하여 올해 '제2차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2015~2019)'을 수립할 계획이다.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은 "취업 후 경력단절을 경험하는 여성이 58%에 이르고 취업 중인 여성들도 재경력단절의 위험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점은 정책적 시사점이 크다"면서 "경력단절로 인한 소득 손실과 소득 격차가 큰 만큼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은 국가적으로나 개인과 가족의 삶의 질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여성가족부는 유형별 여성 새로일하기센터 설치, 기업 맞춤형 및 전문기술 훈련 확대 등을 통해 경력단절여성들의 연령, 전공, 경력 등을 고려한 맞춤형 취업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라 "앞으로 일하는 여성들이 임신, 출산, 육아 등 생애주기별로 직면할 수 있는 경력단절의 위험을 예방하는테 더욱 역점을 두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pontifex@news1.kr

많이 본 뉴스

  1. 옥중 결혼 꿈꾼 무기수 5일 휴가, 청혼 거절에 "헛되다" 유서
  2. 한혜진 "제발 오지마" 호소…홍천별장 CCTV 찍힌 승용차 소름
  3. 한소희 '프랑스 대학 합격' 거짓말? "예능서 얘기 편집돼 와전"
  4. 유재환 "X파 있다, 섹시 토크도…예비 신부? 내 배다른 동생"
  5. 김희정, 셔츠 한 장 안에 비키니 입고 글래머 몸매 인증
  6. 담배연기가…기안84 'SNL 코리아 5' 방영 중 실내 흡연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