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노후 인프라 급증 유지보수 시장 ↑…건설업 새 먹거리

[건설부동산포럼]②2036년 30년 이상 공공 인프라 44%까지 확대
시장 규모↑…"업역·업종 칸막이 사라져 경쟁 심화"

(서울=뉴스1) 이동희 기자 | 2019-03-24 06:15 송고 | 2019-03-24 10:56 최종수정
편집자주 문재인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서민 주거와 교통환경 개선, 안전을 중심에 뒀다. 이런 생활형 SOC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무려 24조원에 이른다. 건설사들도 분주하다. 부동산 시장도 생활 SOC를 계기로 투자의 길을 찾는다. 뉴스1은 정부와 건설산업, 부동산 시장을 아우르는 SOC 패러다임 변화를 조명해본다.
2018년 경기 성남 분당구의 한 수도배관이 터져 균열이 생긴 도로 모습.(뉴스1 자료사진)© News1 오장환 기자
2018년 경기 성남 분당구의 한 수도배관이 터져 균열이 생긴 도로 모습.(뉴스1 자료사진)© News1 오장환 기자

전국 사회간접자본(SOC) 시설물이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 SOC 노후화의 안전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유지·보수 투자가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안전 우선 시대에 맞춰 유지·보수 시장도 커져 건설업계의 새로운 먹거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2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 공공 인프라 2만6930개 중 30년 이상 지난 노후 인프라는 2744개(10.3%)다. 공공 인프라 10개 중 1개는 노후 인프라인 셈이다.
노후 인프라 비중도 늘고 있다. 국내 인프라 대부분을  1970~1980년대 집중적으로 건설했기 때문이다. 실제 30년 이상 시설물은 2026년 21.4%, 2036년 44.4%로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노후 시설물이 증가하면서 안전 문제도 사회적 관심이다. 지난해 전국 각지에서 노후 건축물 붕괴 사고가 잇달아 발생했다. 이를테면 서울서 KT 아현지사 통신구 화재로 일대 통신망이 마비됐고, 경기 고양서 배관 파열사고로 시민 1명이 사망했다.

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향후 10년 노후화 시설로 새로 편입될 시설물이 상당하다며 지속적인 관심과 대응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건산연 관계자는 "최근 크고 작은 SOC 안전사고가 발생해 노후 시설물 유지·보수 필요성은 더 커지고 있다"며 정부에 투자 확대를 주문했다.

© 뉴스1
© 뉴스1

주요국은 신규 SOC 시설물보다 유지·보수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상호 건산연 원장이 발표한 '인프라 평균의 시대는 끝났다' 자료에 따르면 유럽 건설시장은 신축(48.5%)보다 유지·보수(51.5%) 시장의 비중이 더 높다. 미국은 2027년까지 2000억달러를 민간과 공공시설물 성능개선 비용으로 쓸 계획이다. 일본 역시 2013년 5조1000억엔 수준의 시설 유지·보수 비용을 2033년 7조9000억엔으로 늘릴 방침이다.
국내도 노후 인프라 비중이 늘면서 관련 시장이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도로와 교량은 이미 유지·보수 비중이 50%에 근접했다. 건산연은 노후 시설물 개선과 정비에 최소 41조8000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

건설업계도 시설물 유지·보수 시장을 새로운 먹거리로 보고 있다. 기존 단순시공보다는 유지·보수 사업을 더 확대할 계획이다. 시장 확대에 업계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지난해 국토부가 종합·전문건설업으로 나뉜 '업역 규제'를 40년 만에 폐지했다. 그 후속으로 '업종 개편'을 추진 중이다. 국토부는 올 상반기 시설물유지관리업 단기개편 방안을 마련하고 중장기적인 업종 통합방안을 마련한다. 업계 관계자는 "업역에 이어 업종 규제까지 사라지면 기술력이 떨어지는 업체는 도태할 것"이라며 "쉽지 않은 방향이지만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술력 제고가 필수"라고 말했다.  


yagoojoa@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