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국립수산과학원, 대량폐사 정어리 사료로 '변신'

(부산=뉴스1) 권영지 기자 | 2023-11-21 15:55 송고
폐사된 정어리가 수거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폐사된 정어리가 수거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이 지난해부터 대량폐사가 일어나고 있는 정어리 폐사체를 활용한 고품질의 양어·축산사료 제조 기술을 개발해 산업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경남 마산 앞바다에서 정어리의 대량폐사가 발생한 바 있다. 특히 정어리는 선도 저하가 매우 빠르게 진행하는 어종으로, 수거된 폐사체는 대부분 소각 처리되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펫푸드와 축·수산사료의 원료로 각광받고 있는 곤충(동애등에)의 먹이원이 유기성 폐기물 등 음식물 찌꺼기라는 점과 정어리에 오메가3와 단백질 등 유용성분이 높다는 점에 착안했다. 

수과원은 동애등에 먹이원으로 정어리 폐사체 최적 첨가량을 구명해 기존보다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동애등에를 생산할 수 있게 됐다. 

정어리를 섭취한 동애등에는 기존의 유기성 폐기물을 섭취한 동애등에보다 오메가3 함량 등이 높게 나타났다.

수과원은 정어리 폐사체를 사료화하기 위해 지난 8월, 사료 전문 산업체인 ㈜엔토모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정어리를 활용한 사료 개발 및 산업화 연구를 추진해왔다.

이번에 개발된 정어리 활용 원천기술을 적용해 생산된 동애등에를 활용한 단미사료 및 펫푸드 시제품을 생산해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했다. 

수과원은 ㈜엔토모와 크라우드 펀딩을 추진해 정어리를 활용한 양어, 축산 및 단미사료의 시장성 검증과 대국민 홍보를 통해 산업화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우동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대량으로 폐기되는 정어리 자원을 사료로 재자원화하는 발상 전환의 연구성과로 어업인, 사료업계 및 반려동물 연관 산업 등의 소득 창출과 환경보전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게 됐다"면서 "개발된 원천기술이 크라우딩 펀딩으로 수산업의 새로운 고부가가치 창출을 견인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어리 폐사체 활용 연구내용 인포그래픽. (수과원 제공)
정어리 폐사체 활용 연구내용 인포그래픽. (수과원 제공)



0zz@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