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존의 트위터 로고 파랑새와 새로 교체된 로고 'X'. 파랑새가 아래를 향하고 있다. © 로이터=뉴스1 © News1 박형기 기자 |
엑스(옛 트위터)와 틱톡, 구글 등 주요 온라인 기술 기업들의 유해 콘텐츠 규제에 집중하고 있는 호주 온라인 규제 당국이 아동 학대 관련 콘텐츠에 대한 새 표준을 적용해 더욱 강력한 규제와 단속에 나설 것이라 예고했다.
20일(현지시간) 로이터터통신에 따르면 호주의 디지털 범죄 대응 최고 기관인 온라인안전국(eSafety Commissioner)은 새 프로토콜에 따라 기술 기업들이 인공 지능을 활용해 합성으로 만든 성적 아동 학대 자료 등을 포함해, 유해 콘텐츠에 대처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규제 당국은 이 같은 유해 콘텐츠를 자정하기 위한 자체 규정을 개발할 수 있도록 기업들에 2년의 시간을 줬고, 이젠 당국이 개입할 수밖에 없었단 입장을 전했다.
당국은 기업들의 자체 규정이 "충분한 안전장치를 제공하지 못했으며", "알려진 아동 성학대 자료를 식별하고 제거하려는 강력한 의지가 부족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온라인안전국의 새 강령에 따라 향후 메타와 애플, 구글과 같은 기술 기업들에 대한 단속에 나설 방침이다.
이 같은 온라인 강령은 아직 의회의 승인이 필요한 상황이다.
트위터 출신인 줄리 인먼 그랜트 온라인안전국 국장은 "이 세계 최고의 강령과 표준은 아동 성학대 자료와 친테러 콘텐츠 등 최악의 온라인 콘텐츠를 다룬다"고 밝혔다.
이 규정은 웹사이트, 사진 저장 서비스, 메시징 앱에 적용될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업계가 아동 성적 학대 자료와 같이 심각하게 유해한 콘텐츠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의미 있는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2월 호주 온라인안전국은 엑스가 아동 학대 방치 대책을 내놓지 않았단 이유로 61만5500호주달러(약 5억3000만원)의 벌금을 부과한 바 있다.
당시 틱톡, 구글 등 주요 SNS 회사들에 아동 학대 관련 콘텐츠를 어떻게 감지하고 제거하는 지 등의 질문을 던졌는데 엑스가 답변을 계속해서 미뤘고 결국 규제 당국에 벌금형을 받았다.
real@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