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조규홍 “저소득 국가 필요 백신, 대륙별 생산 논의해야”

복지부, 세계 바이오 서밋 개최…정부‧기관‧기업 모여 백신 공급 논의
테드로스 아드하놈 WHO 총장 “코로나, 의료접근성서 불평등 드러내”

(서울=뉴스1) 황진중 기자 | 2023-11-20 14:52 송고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세계바이오서밋2023에서 개회사를 발표하고 있다.231120/뉴스1 © News1 황진중 기자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세계바이오서밋2023에서 개회사를 발표하고 있다.231120/뉴스1 © News1 황진중 기자

“백신과 바이오에 대한 정부와 국제기구 관계자, 기업 대표자들간 다양한 논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이번 세계바이오서밋을 준비했습니다. 중저소득국가의 백신 공급망 구축과 전 세계 백신 공급에 대한 형평성 강화를 위한 생산과 연구개발(R&D) 강화에 대한 계기가 구체화하기를 기대합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20일 세계보건기구(WHO)와 공동으로 오는 21일까지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호텔에서 개최되는 ‘세계바이오서밋’(WORLD BIO SUMMIT 2023) 개회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이번 바이오서밋은 ‘팬데믹 대응 역량 강화:인력·기업·시민사회의 준비’를 주제로 열린다.

세계바이오서밋은 ‘바이오헬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을 추진하고 있는 정부가 세계의 여러 국가·기업·국제기구의 바이오분야 리더를 초청해 국제 공조 방안을 논의하는 연례적 국제행사다. 지난해에 이어 2회째 개최된다.

올해 세계바이오서밋은 백신·바이오 분야에서 코로나19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대응에 주도적 역할을 한 국제기구인 아시아개발은행(ADB)·감염병혁신연합(CEPI)·국제백신연구소(IVI)·혁신적진단기기재단(FIND)과 질병관리청이 분과 파트너로 참여한다.

조규홍 장관은 “바이오서밋은 미래에 다가올 수 있는 팬데믹 대응에 대한 중요성을 되새기고 백신, 치료제, 진단기기, 규제 등에서 효율화를 수행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우리나라는 아시아태평양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보건안보 협력 시스템 구축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보건안보 달성이라는 목적을 위해 우리가 한 자리에 모였다”면서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프로젝트 등 뜻이 있는 국가 등과 이미 협력을 진행 중이다. 감염병 등 인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안전한 보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건설적인 계기가 되길 기원한다”고 덧붙였다.

행사에서는 미래 팬데믹 대비를 위한 정부·기업·국제기구 차원의 백신 생산·개발 역량의 확대, 생산 관련 전문 인력 양성, 규제 혁신, 재정적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한다. 최근 백신 분야에서 대두되는 권역별·대륙별 백신 생산·개발 협력 모델의 구체화 방안을 심도 있게 검토할 예정이다.

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팬데믹은 생명을 구하는 의료접근성 측면에서 불평등을 드러냈다”면서 “전염병과 전염병 발생 가능성에 대한 R&D를 늘리는 것은 국제사회가 해야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15개 국가와 현지에 제조시설 등을 구축하는 국가네트워크를 만들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는 메신저리보핵산(mRNA) 기술이전 허브를 설립했고, 한국에는 바이오 제조를 위한 글로벌 허브를 만들었다”면서 “고품질 의료를 공평하게 공급하는 것에 대해 기여한 파트너에게 감사한다”고 덧붙였다.


jin@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