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경제 >

현대차·기아, 자동차업계 첫 '이중구조' 해소 상생협력 공동선언

대기업-협력사 간 격차 완화 첫 걸음
이정식 고용장관 "상생협력 확산 총력 지원"

(세종=뉴스1) 이정현 기자 | 2023-11-20 13:30 송고 | 2023-11-20 13:53 최종수정
고용노동부와 현대차·기아는 20일 국내 최대 규모 협력사 교육시설인 현대자동차 글로벌상생협력센터에서 '자동차산업 상생협력 확산을 위한 공동선언식'을 개최했다. 사진 왼쪽부터 최준영 기아㈜ 대표이사, 이동선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문성준 명화공업 대표(협력업체) (고용노동부 제공) /2023.11.20/ © News1
고용노동부와 현대차·기아는 20일 국내 최대 규모 협력사 교육시설인 현대자동차 글로벌상생협력센터에서 '자동차산업 상생협력 확산을 위한 공동선언식'을 개최했다. 사진 왼쪽부터 최준영 기아㈜ 대표이사, 이동선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문성준 명화공업 대표(협력업체) (고용노동부 제공) /2023.11.20/ © News1

고용노동부와 현대차(005380)·기아(000270)는 20일 국내 최대 규모 협력사 교육시설인 현대자동차 글로벌상생협력센터에서 '자동차산업 상생협력 확산을 위한 공동선언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선언은 조선업, 석유화학에 이어 이중구조 개선을 위한 상생모델이 자동차업계로 확산한 첫 사례다.

이날 행사에는 이정식 고용부 장관, 이동석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최준영 기아 대표이사, 문성준 현대차·기아 협력회장, 이건국 삼보오토(자동차부품 협력사)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공동선언의 주요 내용을 보면 현대차·기아는 △협력사의 숙련인력 확보 △협력사 근로자의 근로조건 개선 △협력사의 기술경쟁력 제고 △경영기반 강화 등을 위한 방안 마련·실행에 노력한다.

협력업체는 △자사 근로자의 근로조건 향상 및 역량 강화 △연구개발·생산성 향상을 추진한다.

정부는 이들 현대차·기아와 협력사의 자발적인 노력에 상응해 제반사항을 적극 지원한다.

고용부는 이번 공동선언이 부품협력사의 열악한 근로조건과 낮은 지불여력 등으로 이중구조 심화 우려가 큰 자동차산업계 노동시장에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정부는 더 나아가 공동선언이 단순한 선언으로만 그치지 않고, 협력사가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상생협약 과제가 발굴될 수 있게 '현대차-기아-협력사-정부'가 함께하는 자동차산업 이중구조 개선방안을 논의하는 협의체를 운영할 계획이다.

이정식 고용 장관은 "이중구조는 노사 일방에 책임을 지우는 입법적 규제나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비정규직 제로정책 등 드러나는 현상에 대한 '대증처방'으로는 해결되지 않는다"면서 "상생과 연대의 생태계 조성을 위한 노사의 자발적인 협력이 실현되고 관행화될 때 비로소 좁혀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현대자동차·기아와 협력사의 상생모델이 업계 전반을 넘어 기업·지역·업종 단위로 확산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euni1219@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