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7일 오전 서울의 한 구청에 전국 지방자치단체 행정전산망이 시스템 오류를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 News1 신웅수 기자 |
행정안전부는 지방행정전산서비스 장애와 관련, 19일 "정상적으로 서비스가 재개됐으며, 지방행정전산서비스는 모두 정상화됐다고 본다"고 밝혔다.
지방행정전산서비스 장애 대책본부장인 고기동 행정안전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현재 모든서비스가 재개돼 원활하게 작동하고 있으며 정부24를 통해 민원을 발급하는 데에 불편함이 없고, 이틀간의 현장 점검 결과 새울행정시스템도 장애가 없다"며 이렇게 밝혔다.
고 차관은 "지난 17일 새울지방행정시스템의 접속 오류가 발생했고, 인증시스템 일부인 네트워크 장비에 이상이 있는 것을 확인해 18일 새벽에 교체하고 안정화 작업을 했다"며 "이후 테스트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돼 국민께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재개했다"고 말했다.
고 차관은 "20일 행안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한국지역정보개발원 등은 지방행정전산서비스 장애 대응 상황실을 운영해 이상 징후 시 즉각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고 차관은 "지난 17일 당일 처리하지 못한 민원에 대해서는 신청 날짜를 소급 처리하는 등 국민 피해가 없도록 하고, 다른 국민 불편사항에 대해서는 적극 조치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장애 원인에 대해 서보람 행안부 디지털정부실장은 "GPKI(정부공개키 인프라)인증시스템의 일부인 네트워크 장비(L4스위치)의 문제를 발견했지만, 그 안의 어떤 부분이 문제를 일으켰는지에 대해서는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서 실장은 다만 "L4스위치가 노후화됐기 때문은 아니고, 장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장비를 이중화해서 운영하고 있는데 당일에는 이중화돼 있는 두 개의 장비가 순차적으로 계속 문제를 일으켜 장애가 발생한 것"이라고 밝혔다.
서 실장은 해킹 등 외부의 원인으로 장애가 발생했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해킹이라면 이상 징후가 먼저 발생하도록 돼 있는데 현재까지 파악하기로는 특별한 이상징후는 없었다"며 "해킹으로 우려되는 문제가 있는지는 계속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일부 행정전산망 네트워크 장비 프로그램에 대한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이후 다음 날 오전 8시40분쯤부터 전산망 사용자 인증 문제로 지자체 공무원들이 새올지방행정시스템에 접속하지 못하게 되며 민원·복지 업무가 전면 마비됐다.
같은 날 오후에는 정부 온라인 민원 플랫폼인 '정부24'도 오류로 작동이 중지됐다. 민원 업무가 온·오프라인에서 전면 마비되며 세무·부동산·복지 등 기본적인 시민 일상에 지장이 발생했다.
이후 행안부는 문제가 됐던 '행정전자서명'(GPKI) 인증시스템 내 네트워크 장비인 'L4스위치'를 교체했고, 지난 18일 오전부터 새올지방행정시스템과 정부24의 정상 작동을 확인했다.
다만 행안부는 정부24에 대해 18일 오전 9시 '정상작동' 선언을 한 것과 달리 새올 시스템은 좀 더 신중하게 지켜보겠다는 입장이었다. 지난 18일 현장 점검 때 평일 근무 시간보다 적은 수의 공무원만이 참여해 네트워크 접속량 변수가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날 오후 현장 점검에서도 새올 정상 작동이 확인되며 정부는 최종적으로 시스템 정상화를 선언했다.
같은 날 오후에는 정부 온라인 민원 플랫폼인 '정부24'도 오류로 작동이 중지됐다. 민원 업무가 온·오프라인에서 전면 마비되며 세무·부동산·복지 등 기본적인 시민 일상에 지장이 발생했다.
이후 행안부는 문제가 됐던 '행정전자서명'(GPKI) 인증시스템 내 네트워크 장비인 'L4스위치'를 교체했고, 지난 18일 오전부터 새올지방행정시스템과 정부24의 정상 작동을 확인했다.
다만 행안부는 정부24에 대해 18일 오전 9시 '정상작동' 선언을 한 것과 달리 새올 시스템은 좀 더 신중하게 지켜보겠다는 입장이었다. 지난 18일 현장 점검 때 평일 근무 시간보다 적은 수의 공무원만이 참여해 네트워크 접속량 변수가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날 오후 현장 점검에서도 새올 정상 작동이 확인되며 정부는 최종적으로 시스템 정상화를 선언했다.
alicemunr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