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원인 파악도 대응도 못 한 행안부…'민원 셧다운' 장기화하나

13시간 넘도록 원인 파악 안 돼…'늑장 대응'도 도마 위에
직원 긴급 투입 원인 파악 중…주말까지도 장담할 수 없어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2023-11-17 21:51 송고
17일 오전 광주 동구청에 '행정안전부 전산망 장애'로 민원서비스 등이 제공이 불가하다는 안내문이 붙어있다. 2023.11.17/뉴스1 © News1 이승현 기자
17일 오전 광주 동구청에 '행정안전부 전산망 장애'로 민원서비스 등이 제공이 불가하다는 안내문이 붙어있다. 2023.11.17/뉴스1 © News1 이승현 기자

민원 업무에 활용되는 전국 지방자치단체 행정망이 '셧다운'된 가운데 담당 부처인 행정안전부의 대응이 도마에 오르고 있다.

문제가 발생한 지 13시간이 넘었으나 복구는 물론 원인 파악조차 안 되면서 민원서류 발급 먹통 사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행안부는 이날 오전 8시40분쯤 행정 전산망 문제를 처음 인지했다. 행안부는 오전 9시쯤에야 이 같은 사실을 "원인 조치 중"이라며 전국 지자체에 공지했다.  

당초 행안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관리중인 일부 장비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파악하고 이날 업무시간 중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이날 오후 2시쯤 정부 온라인 민원서비스인 '정부24' 또한 오류로 일시 중단됐다.

공공기관의 민원 업무가 온·오프라인 모두 중단된 것은 물론 복지 업무도 사실상 '셧다운' 됐다. 이외 공무원들의 업무에도 지장이 생겼다.

이렇듯 상황이 악화되자 전국에서 불만이 빗발쳤으나 행안부가 공식 입장을 내놓은 것은 오후 5시40분쯤이 돼서였다. 처음 문제가 발생하고 약 9시간이 경과한 시점이다.

행안부는 "불이익을 당하는 국민이 없도록 조치하겠다"며 공공 민원 기한을 장애 복구 시점까지 연장하고 즉시 처리 가능한 민원은 수기로 접수한 뒤 이날자로 소급 처리한다는 방안을 내놨다.

시민의 은행·세무·복지 업무가 전면 중단됐지만 사태 발생 13시간째인 이날 오후 9시40분까지도 복구는 물론 원인 파악조차 안 되고 있다.

행안부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거듭 "(셧다운) 원인을 모르겠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복구 조짐이 보이지 않으며 사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행안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관련 직원 70여명을 긴급 투입해 원인 파악에 힘쓰고 있지만 이번 주말까지의 복구 여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원인이 파악되지 않은 만큼 해결까지 걸릴 시간도 전혀 예측할 수 없다.

사태가 이번 주말을 넘어 장기화하면 시민 민원·복지 등 주요 업무에 대한 지장이 심각해지는 것은 물론 정부의 '디지털 정부' 신뢰도에도 흠집이 갈 수 있다.

행안부는 이번 정부 들어 '디지털 정부'를 핵심 국정과제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수출 등에 힘쓰고 있다.


alicemunro@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