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송통신위원회는 서울 장충동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2023 국제 OTT 포럼'을 16일 개최했다.(방통위 제공) |
가입자 성장세 둔화와 제작비 증가 등 어려움을 직면한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사업자들이 상생을 도모하고 광고 등 새로운 수익성 모델 발굴에 나섰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서울 장충동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2023 국제 OTT 포럼'을 16일 개최했다.
올해로 2회차를 맞이하는 이번 포럼에서는 티빙, 웨이브 등 국내 기업 외에도 미국 넷플릭스, 홍콩 뷰(Viu), 영국 다존(DAZN), 프랑스 카날(Canal)+, 일본 유넥스트(U-NEXT) 등 글로벌 OTT 기업들이 참가했다.
행사는 '상상 이상의 스트리밍'을 주제로 기조연설, 특별세션을 포함해 총 6개의 세션으로 구성됐다.
넷플릭스는 콘텐츠 업계 내 상생과 협력을 강조했다. 기조 연설에 나선 강동한 넷플릭스 한국 콘텐츠 총괄은 "스트리밍 서비스끼리 누가 이기고 지느냐 제로섬이 아니고 모두 다 같이 성장할 수 있는 시장"이라며 "넷플릭스는 공존할 수 있는 다양한 협업 방식을 찾아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tvN 드라마에 공동 투자하고 이를 티빙에서 서비스하거나 JTBC SLL과 오리지널을 제작하고 지상파 드라마를 해외에 알리는 등 다방면에서 상생 모델 구축해왔다"고 덧붙였다.
티빙은 광고 요금제를 대표로 한 새 수익 모델의 도입을 강조했다. 최주희 티빙 대표는 "콘텐츠 비용의 큰 증가로 인해서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이에 따른 여러가지 챌린지에 당면했다"고 운을 뗐다.
이를 위한 타개책으로 내년 상반기에 출시될 광고 상품 모델을 소개했다. 티빙은 내년 1분기에 월 5500원 광고 요금제를 출시한다.
최 대표는 "동영상 광고 시장에 큰 혁신을 가져올 수 있으리라고 믿는다"며 "아마존 등 미국에서는 이미 혁신 사례들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콘텐츠 생태계 육성을 위한 과제도 언급됐다. 콘텐츠 불법 유통 근절, 글로벌 진출을 위한 데이터 축적 및 저작권 이슈 해소 등이다.
최 대표는 "많은 사람의 노력이 허무하게 되지 않도록 저희가 분명 불법으로 유통되는 사이트는 계속 모니터링하고 업계가 모두 다 같이 근절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정부 및 파트너분들과 지속 상생해서 K-콘텐츠 그리고 플랫폼의 글로벌화를 이끌어 나가는 데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이상인 방통위 부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되고 있는 콘텐츠 불법 유통은 OTT 등 미디어 산업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국내외 산업계가 OTT 산업 활성화를 위해 더욱 더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g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