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News1 DB |
산업통상자원부는 12월까지 재생원료 인증제도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대상은 5개 전기전자제품 생산자 및 하위공급망 6개 기업 내외다.
배터리 원료, 가전제품(냉장고·TV·세탁기·사운드바) 등 5개 제품 먼저 시범사업에 착수했다. 삼성전자(005930), LG전자(066570), 성일하이텍(365340) 등 최종 제품 생산 기업부터 제품의 공급망에 있는 다수의 중소기업도 함께 참여한다.
이번 시범사업은 재생원료 관리·경영시스템 요구사항 등 재생원료 인증방법을 국제표준에서 준용, 국내에서 인증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우리 기업들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했다.
유럽연합(EU) 등 주요 선진국은 배터리 및 플라스틱 제품 등을 대상으로 재생원료 의무사용 규제를 추진 중이다. 이로 인한 우리 수출 기업의 재생원료 사용인증 수요도 크게 늘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는 인증제도가 없어 기업들은 비싼 해외 인증에 의존하고 있고, 앞으로도 이런 구조는 심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산업부는 지난해부터 원료부터 소재·부품을 거쳐 최종 제품에 이르는 재생원료 사용량을 추적해 인증하는 재생원료 인증제도를 마련 중이다.
산업부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이날 성일하이텍 군산공장에서 재생원료 인증제도 시범사업 참여기업 간담회를 갖고 '재생원료 인증제도 시범사업'의 취지와 추진계획을 소개했다.
이 실장은 "재생원료 사용은 글로벌 규제 대응과 자원 안보 측면에서 산업경쟁력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중요하다"며 "기업과 적극적으로 소통해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euni1219@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