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암아트홀 건축물 조감도(서울시 제공). |
준공 이후 30년 이상 지난 서울 중구 '호암아트홀'이 1200석 규모의 클래식 전용 공연장으로 재탄생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녹지생태 도심 재창조 전략' 일환으로 서소문 일대 정비사업을 동시에 추진, 서울광장 크기의 열린 광장도 조성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전날 제18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중구 순화동 7번지 '서울역-서대문 1·2 도시 정비형 재개발구역 제1지구 정비계획 변경(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16일 밝혔다.
대상지는 서소문 역사공원과 지하철 2호선 시청역 사이에 자리 잡은 호암아트홀로, 준공 이후 30년 이상 지나서 2017년부터 외부 대관이 중단됐다. 담장과 옥외주차장으로 둘러싸인 폐쇄적인 구조로 도시 공간을 단절시켜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시는 기존 중규모(647석) 다목적 공연장을 확대 개편해 세계적 수준의 음향 성능을 갖춘 대규모(1200석) 클래식 전용 공연장으로 조성해 강북 지역을 활성화할 문화거점으로 만들 계획이다.
공연장 공중 배치(지상 4층~9층)로 저층부 외부공간을 추가 확보해 개방감과 공공성을 모두 갖춘 공간으로 조성한다.
해당 지구에는 업무시설, 문화 및 집회 시설, 판매시설 등이 도입된다. 지형 차를 고려해 지면과 접하는 지하 1층에서 지상 2층에는 가로 활성화를 위한 판매시설을 배치해 외부공간과 유기적으로 연계한다.
용적률은 개방형 녹지 도입, 문화인프라, 정비기반시설(도로) 제공 등에 따라 최고 1040.2%로 결정했다.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 녹지는 8388.8㎡(대지의 51.4%)로 계획했다.
![]() |
호암아트홀 인근 개방형 녹지 계획안(서울시 제공). |
아울러 서소문 일대 개방 공간 통합기획을 통해 서울광장 크기의 개방형 녹지를 조성한다.
서소문 일대 연접한 서소문 빌딩, 중앙빌딩, 동화빌딩의 정비사업이 동시 추진됨에 따라 시는 개별지구 차원의 계획을 넘어 '하나의 구역'으로 통합 계획(안)을 만들고자 민·관 합동 통합기획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보행 및 녹지, 경관 등을 유기적으로 연계했다.
이에 따라 보행로를 포함한 녹지형 개방 공간은 통합 설계 전 8010㎡에서 통합 설계 후 1만3205㎡로 1.6배 늘어난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정비계획 변경으로 서울 도심 서측의 관문이라는 주요 거점에 위치했음에도 비효율적으로 이용되던 기존 건축물이 도심의 랜드마크로 재탄생될 것"이라며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대규모 열린 정원과 클래식 전문공연장을 조성해 도심 한가운데 새로운 문화·업무 복합공간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junoo5683@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