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이 "새 형의 중거리탄도미사일용 대출력 고체연료 발동기(엔진)의 첫 지상분출시험"을 지난 11일, "2계단 발동기의 첫 지상분출시험"을 14일 "성과적으로 진행했다"고 15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
북한이 15일 관영매체를 통해 고체연료를 활용한 새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용 로켓 엔진 개발 소식을 전했다. 이에 따라 북한이 조만간 신형 IRBM 시험발사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새 형의 IRBM용 대출력 고체연료 발동기(엔진)들을 개발해 1계단(단계) 발동기의 첫 지상분출 시험을 지난 11일, 2계단 발동기의 첫 지상분출시험을 14일에 성공적으로 진행했다"며 '대단히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고 보도했다.
북한의 기존 IRBM은 액체연료를 사용한다. 반면 고체연료를 쓰는 탄도미사일은 발사 전 연료 주입이 사실상 불필요하기 때문에 그 준비과정이 한미 당국의감시·정찰자산에 노출될 가능성이 적어 기습 발사를 시도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북한은 새 IRBM 개발과 관련한 후속 일정을 공개하진 않았으나, 이번 엔진 시험이 성공적이었다면 다음 단계는 시험발사가 될 수 있단 관측이 나온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는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명백히 위반하는 것이자 우리 입장에선 무력도발에 해당한다.
북한은 작년 12월 김정은 당 총비서 참관 아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용 대출력 고체연료 엔진의 지상분출시험에 성공했다고 밝힌 뒤 올 4월과 7월 신형 고체연료 엔진을 장착한 ICBM '화성-18형'을 각각 시험발사했다.
따라서 북한이 이번에도 이와 유사한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점쳐진다.
![]() |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이 "새 형의 중거리탄도미사일용 대출력 고체연료 발동기(엔진)의 첫 지상분출시험"을 지난 11일, "2계단 발동기의 첫 지상분출시험"을 14일 "성과적으로 진행했다"고 15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봤을 때 이번에 신형 로켓엔진 연소시험을 시험한 장소는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소재 서해위성발사장과 함경남도 함주군 소재 마군포 시험장 등 2곳으로 추정된다. 북한은 작년 12월과 올 1월에도 이들 2곳 시험장에서 각각 로켓엔진 시험을 했다.
이와 관련 일본 정부 대변인 마쓰노 히로카즈(松野博一) 관방장관도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이 앞으로 미사일 발사 등 한층 높은 수위의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앞서 러시아와의 정상회담이 열렸던 9월13일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2발을 쏜 이후 2개월째 미사일 도발을 멈춘 상태다.
그러나 북한은 그간 정찰위성 발사 준비를 계속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북한이 이르면 오는 18일 '미사일 공업절'을 맞아 위성 발사를 재시도할 가능성이 있단 관측도 제기됐다.
북한은 올 5월과 8월에도 정찰위성 발사를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그러던 중 북한이 고체연료 IRBM을 개발 중이란 사실이 확인되면서 다음 도발은 위성이 아닌 신형 IRBM 발사일 수 있다는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와 관련 우리 군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한미 정보당국은 긴밀한 공조 하에 북한의 군사기술 동향과 활동, 군사정찰위성 추가 발사를 포함해 다양한 도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관련 동향을 계속 추적 감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앞서 러시아와의 정상회담이 열렸던 9월13일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2발을 쏜 이후 2개월째 미사일 도발을 멈춘 상태다.
그러나 북한은 그간 정찰위성 발사 준비를 계속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북한이 이르면 오는 18일 '미사일 공업절'을 맞아 위성 발사를 재시도할 가능성이 있단 관측도 제기됐다.
북한은 올 5월과 8월에도 정찰위성 발사를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그러던 중 북한이 고체연료 IRBM을 개발 중이란 사실이 확인되면서 다음 도발은 위성이 아닌 신형 IRBM 발사일 수 있다는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와 관련 우리 군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한미 정보당국은 긴밀한 공조 하에 북한의 군사기술 동향과 활동, 군사정찰위성 추가 발사를 포함해 다양한 도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관련 동향을 계속 추적 감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hg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