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혁신위, 회의서 '조기 해체설' 실제 논의…혁신안 수용 압박

14일 비공개 화상 회의…무반응시 조기 해체 또는 회의 중단 의견 나와
오는 17일 현장회의…다음주 대전 방문 가능성도

(서울=뉴스1) 노선웅 기자 | 2023-11-15 00:06 송고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14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을 찾아 제주4·3단체, 국민의힘 제주도당 관계자들과 위령제단으로 들어서고 있다. 2023.11.14/뉴스1 © News1 오현지 기자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14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을 찾아 제주4·3단체, 국민의힘 제주도당 관계자들과 위령제단으로 들어서고 있다. 2023.11.14/뉴스1 © News1 오현지 기자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14일 7차 회의를 열고 앞서 부인한 '조기 해체설'과 관련해 실제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갈등을 빚은 당 지도부와 혁신위 사이의 관계도 함께 논의한 것으로 한 참석자는 전했다.

이날 혁신위에 따르면 혁신위는 이날 오후 9시부터 10시30분까지 비공개 화상 회의를 통해 7차 회의를 진행했다. 이번 회의는 오는 17일 현장회의 안건 선정을 위한 사전회의격으로 진행됐다.

혁신위는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정책안건을 포함해서 의논할 것인지 여부, 공정의 심화, 도덕성 확보, 청년층에 대한 현장의사 수렴방법 등등의 논의도 있었고, 당 지도부와 혁신위 사이의 관계 논란에 대한 의견도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여하한 상황에서도 국민의힘 혁신위는 국민들이 정치에 대해 바라는 바를 지향점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혁신의 노력을 계속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날 혁신위가 당 지도부와 중진, 친윤(친육석열)계 의원들의 불출마 또는 험지출마 권고 등을 골자로 하는 혁신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혁신위를 조기 해체하거나 회의를 중단하자는 의견에 제기됐다고 보도돼 논란이 된 것과 관련해서도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논란이 커지자 김경진 혁신위원는 전날(13일) 언론 공지에서 "혁신위 발족 초기에 혁신위가 본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면 조기 종료도 검토할 수 있다는 의견이 위원 간에 오고 간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13일 시점에서 혁신위 활동을 조기 종료하자는 구체적인 논의가 진행된 바도 없었고 그와 관련된 합의도 없었다"고 일축했다.

하지만 이러한 부인에도 실제 다수 혁신위원들이 당 지도부를 향해 혁신안 수용을 강하게 요구하며 혁신위 조기 해체나 회의 중단 등도 불사하자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날 회의에서 이에 대한 논의가 불가피하게 이뤄졌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에 일부 혁신위원들은 당 지도부와 중진, 친윤계의 무반응이 이어진 것과 관련해 당내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추가 혁신안을 내놓는 게 무의미하다며 마지노선으로 제시한 12월까지 회의를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혁신위의 강한 주장에 지도부는 난처한 모습이다.

앞서 김기현 대표는 이날 경북 구미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에서 열린 '박정희 대통령 탄신 106돌 기념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일부 혁신위원의 급발진으로 당의 리더십을 흔들거나 당의 기강을 흐트러뜨리는 것은 하지 않아야 한다"며 "좀 더 권한과 책임 사이의 균형을 잘 유지하는 정제된 언행을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후 혁신위에서 재차 혁신안 수용 요구와 함께 조기 해체와 회의 중단을 언급하자, 혁신위가 앞으로 지도부와 중진, 친윤계를 향한 압박 수위를 더 높여갈 거란 관측이 나온다.

한편 혁신위는 오는 17일 현장회의를 열고 4호 혁신안을 발표한다. 앞서 혁신위는 징계 취소, 국회의원 특권 포기, 비례대표 청년 50% 할당 의무화 등 1~3호 혁신안을 연이어 내놓았다.


bueno@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