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15의거 당시 '독재 타도'·'학원자유 보장'을 외치고 있는 마산고등학교 시위대 모습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제공) © 뉴스1 |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가 3·15의거 당시 마산고 학생이 시위에 참여한 사실을 확인했다.
진실화해위는 14일 오후 제66차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확인하고 국가와 지자체에 기념사업과 교육사업 등 후속조치를 권고했다고 밝혔다.
진실화해위는 신청인과 참고인의 진술, 문헌 자료 등을 살핀 결과 당시 마산고 학생 조모씨 등 15명이 3·15의거에 참가한 사실을 확인했다.
1960년 3월15일부터 4월12일까지 마산 지역에서 일어난 3·15의거는 그해 3월15일 부정선거에 항거한 민주화운동으로 4·19혁명의 결정적 계기가 됐다. 진실화해위는 3·15의거와 관련해 이제껏 249건 250명의 진실규명을 결정한 바 있다.
진실화해위는 이날 한국전쟁 당시 전남 강진군 성전면과 옴천면 주민 18명이 인민군 점령기 부역자의 가족이거나 부역 혐의가 있다는 이유 등으로 경찰에 희생된 사실도 확인했다.
또 한국전쟁 발발 직후 전남 완도군 약산면, 노화읍, 소안면에 거주하던 8명이 경찰 등에 의해 희생된 사건도 확인했다.
진실화해위는 1950년 8월부터 1951년 1월까지 전북 고창군 주민 39명이 좌익에 비협조적이거나 우익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지방 좌익 등에 의해 희생된 사건도 확인했다.
진실화해위는 이와 관련해 유가족에게 공식 사과할 것을 국가와 지자체에 권고했다. 이와 함께 피해 회복을 위한 조치, 추모사업 지원, 가족관계등록부 등 공적기록 정정, 평화인권교육 실시 등도 권고했다.
choh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