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기술 개발만큼 중요한 보안"…과기정통부·국정원 연구보안 토론회

(서울=뉴스1) 김승준 기자 | 2023-11-14 15:00 송고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정보원 산업기밀보호센터와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심의·의결한 '신뢰가능한 연구생태계 조성을 위한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방안'의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마련됐다.

연구보안이란 기술이 완성되기 전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 과정에서 연구성과 및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이며 통제 및 사후 규제에 집중하는 산업보안과 달리 보안사고 예방에 초점을 둔다. 미국, 일본 등 주요국은 연구자율성과 균형을 고려한 연구보안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토론회는 '기술패권시대, 연구자와 연구자산을 보호하는 길'을 주제로 △해외의 연구보안정책 동향(선인경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지속가능혁신정책연구단장) △기술유출 사례(박찬준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산업기술보호실장) 및 △정부의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방안(윤성훈 과기정통부 연구제도혁신과장) 등의 발제와 토론으로 구성됐다.

김유식 과기정통부 성과평가정책국장은 "연구보안은 연구자 보호와 우수 연구개발성과의 확산을 위한 전제조건"이라며 "위험 수준을 낮추는 방향으로 연구보안 정책이 구현되도록 연구 현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국정원 산업기밀보호센터장은 "기술패권경쟁과 국제공동연구 확대 추세에서 연구보안의 중요성이 갈수록 부각되고 있다"며 "연구현장의 보안의식 함양이 연구자 자신과 연구성과물을 보호하는 연구보안의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seungjun241@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