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2023.9.6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
오는 15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 최우선 과제는 양국 군사 소통 채널 복원이라고 미국의 블룸버그통신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날 CNN에 출연, "중국이 군사 소통 채널을 먼저 끊었다"며 "바이든 대통령은 이를 재건하고 싶어 한다"고 밝혔다.
그는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을 이를 복원하는 기회로 삼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설리번 보좌관은 CBS의 '페이스 더 네이션'에도 출연, "군사 소통 라인 복원은 바이든 대통령에게 최우선 순위"라며 "실수나 오판이 없도록 군사 소통 라인 복원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국은 지난해 8월 낸시 펠로시 당시 하원 의장의 대만 방문에 항의하기 위해 군사 소통 채널을 끊었었다.
![]() |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타이베이 총통부에서 외국인에 주는 최고 등급 훈장인 특종대수경운 훈장을 받고 차이잉원 대만 총통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
지난 3월 중국이 미국의 제재를 받는 리샹푸 장군을 국방장관에 임명함으로써 양국의 긴장은 더욱 고조됐었다. 중국은 양국 고위급 회담 재개 조건으로 리샹푸 장관 제재 해제를 요구했었다.
이후 군사 소통 채널은 중지돼 있다.
그러나 지난달 리샹푸 장관의 갑작스러운 해임으로 중국이 미국의 제재를 받지 않는 장관을 임명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이로써 고위급 회담을 가로막는 장벽이 하나 제거됐다.
![]() |
리샹푸 전 중국 국방부장. 2023.04.18/ © 로이터=뉴스1 © News1 권진영 기자 |
중국은 아직 리샹푸 후임을 임명하지 않았지만 리샹푸 해임은 미중 군사 핫라인 복원에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최근 몇 달 사이 낮은 수준의 군사 교류가 재개됐다.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를 이끄는 존 아퀼리노 제독이 지난 8월 피지에서 인민해방군 참모부 부참모장 쉬치링 장군을 만난 것.
이에 따라 미중 군사 소통 채널 복원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설리번 보좌관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군사 핫라인을 전술적 수준까지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sinopar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