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강남구 무역센터에서 바라본 서울 송파구의 아파트 단지의 모습. 2023,10.30/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한주만에 하락 전환했다.
1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1주(6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7.6으로 전주(88.3) 대비 0.7p 내렸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것으로 기준선(100)보다 수치가 낮을수록 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더 많다는 의미다.
권역별로 보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가 속한 동남권은 같은 기간 90.3에서 89.2로 전주 대비 1.1p 내렸다.
영등포·양천구가 있는 서남권은(90.5→89.8) 0.7p 내렸다. 마포·서대문구가 속한 서북권은(87.4→86.7) 0.7p 내렸다. 종로·용산구 등이 있는 도심권(91.0→90.7)도 0.3p내렸다.
이른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이 속한 동북권 지수는 84.7에서 84.2로 0.5p 내렸다.
전국 매매수급지수도 89.5로 전주(89.8)보다 0.3p 내렸다. 수도권(89.9→89.3)은 지난주보다 0.6p 내렸고, 지방(89.8→89.7)도 0.1p 내렸다.
반면 전세를 찾는 수요는 증가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같은 기간 95.3에서 95.8로 0.5p 상승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도 93.2에서 93.4로 0.2p 올랐다. 수도권(94.8→95.0)과 지방(91.7→91.9)이 모두 올랐다.
d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