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영상 SKT 대표가 지난 9월26일 SK T타워 수펙스홀에서 열린 ‘SKT AI 사업전략 기자간담회’에서 키노트를 발표하고 있다. SKT는 이날 "과거 5년간 12% 규모였던 AI 관련 투자 비중을 향후 5년간 33%로 3배 확대해 2028년 매출 25조원 이상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SKT 제공) 2023.9.26/뉴스1 |
SK텔레콤(017670)이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등 기업 간 거래(B2B) 사업에 힘입어 이통3사 중 유일하게 3분기 영업이익 증가세를 기록했다.
SK텔레콤은 올 3분기 매출 4조4026억원, 영업이익 4980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공시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4%, 7%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으나 매출액은 전망치를 하회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전망치는 매출액 4조4170억원, 영업이익 4880억원이었다.
SK브로드밴드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 성장한 1조692억원을, 영업이익은 4.4% 증가한 832억원을 기록했다.
이동통신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 성장한 2조6540억원을 기록했다. 5G 가입자는 1515만여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66%에 달했다. 가입자당 평균 매출(ARPU)은 전년 동기 대비 2.3% 감소한 2만9913원이다.
IPTV 가입자는 3분기 순증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며 952만명을 달성했다.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는 순증 점유율 2위를 차지하며 687만명을 기록했다.
특히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등 엔터프라이즈 매출의 성장세가 돋보였다. 데이터센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2.5%, 클라우드 매출은 38.7% 성장했다. 신규 데이터센터의 가동률 상승과 클라우드 수주 증가가 주효했다.
클라우드 사업은 반복 발생 매출이 6분기 연속 90% 이상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수익 모델로 자리잡았다.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420만여명으로, 절반 가까이를 해외에서 유치했다. 도이치텔레콤, T모바일 US 등 해외 업체와의 협력 중이다.
커머스 사업 'T우주'는 구독자가 220만명을 넘어섰다. 'T딜'은 상반기 거래액 1000억원을 돌파했다.
![]() |
유영상 SKT 대표가 지난9월26일 SK T타워 수펙스홀에서 열린 ‘SKT AI 사업전략 기자간담회’에서 키노트를 발표하고 있다. SKT는 이날 "과거 5년간 12% 규모였던 AI 관련 투자 비중을 향후 5년간 33%로 3배 확대해 2028년 매출 25조원 이상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SKT 제공) 2023.9.26/뉴스1 |
SK텔레콤은 지난 9월 발표한 'AI 피라미드 전략'을 통해 △AI 인프라 △AIX △AI 서비스 3대 영역에 주력하겠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이 설립한 AI 반도체 전문기업 '사피온'은 차세대 추론용 AI칩 'X330'을 연내 출시할 계획이다. 타사 모델 대비 약 2배의 연산 성능을 자랑하며 전력 효율도 1.3배 우수하다는 설명이다.
AI 기술 브랜드 '에이닷엑스'의 고도화도 이어간다. 내년 중에는 미국에 설립한 '글로벌 AI 플랫폼 코퍼레이션'에서 통신 특화 거대언어모델(LLM)과 멀티 LLM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AI 플랫폼을 선보인다.
고객센터, 도심항공교통(UAM), 헬스케어 등의 사업에도 AI 기술력을 심는다. 또 '에이닷'으로 대표되는 'AI 개인비서'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글로벌 통신사와도 협력해 해외에도 진출한다.
한편 3분기 설비투자비용은(CAPEX)은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한 4480억원을 집행했다.
SK텔레콤은 3분기 배당금을 지난 분기와 동일한 주당 830원으로 확정했다. 지난 7월 공시한 3000억원의 자사주 매입은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 매입 완료 후 2000억 규모의 자기주식을 소각할 예정이다.
김진원 SK텔레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AI 피라미드 전략으로 글로벌 AI 컴퍼니로 도약하는 SK텔레콤의 성장이 기업과 주주가치 극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g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