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News1 장수영 |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제1회 자유무역지역(FTZ) 혁신전략 포럼을 개최하고 산업·지역전문가, 기업인 등과 함께 향후 30년 간의 자유무역지역 미래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자유무역지역(Free Trade Zones)은 수출·물류 확대, 외투 유치 등을 위해 자유로운 제조, 무역활동 등을 보장하는 지역을 일컫는다. 국내에 위치하지만 자유무역지역법, 관세법 등에 따라 관세유보 혜택을 부여받는다.
이번 포럼은 자유무역지역 도입 후 50여년간 성과를 재조명하고 국내·외 정책환경 변화에 대응하면서 30년 후 자유무역지역의 밑그림이 될 '자유무역지역 제도혁신 전략' 정책연구용역 중간 보고를 진행했다. 산업·지역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패널토의(공청회), 입주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자유무역지역 수출역량 강화 방안 및 탄소중립 관련 환경‧사회‧투명경영(ESG) 수출전략 특강도 함께 진행했다.
공청회에서는 자유무역지역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새로운 방식의 수출특구로의 전환을 위해 △전통 제조업 중심에서 첨단산업으로의 전환 △산단형·공항형·항만형 자유무역지역의 융복합화 △자유무역지역 내 산업인프라 고도화‧그린화 등이 선행돼야 할 과제로 논의됐다.
아울러 향후 30년을 대비하기 위한 △디지털자유무역지역 및 융합형(산단형+공·항만형)자유무역지역 도입 △AI기반 '글로벌 도심형자유무역지역 조성(서비스·R&D수출)' △100% 수출기업 전용공간인 '수출전용파크' 구현 및 미래기술 접목 단지 고도화 추진 계획 등 3단계 전략이 제시됐다.
산업부는 "자유무역지역 입주기업, 전문가 등과 끊임없이 소통하면서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여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라며 "합포만의 기적을 기억하면서 지구촌 으뜸 자유무역지역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eonki@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