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뉴스1 DB) 2023.10.23/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
"창업 때의 모습으로 돌아가 완전히 책임을 지고 변화를 이끌겠다."
카카오가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 센터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경영쇄신위원회를 출범한다. 자율 경영 기조 아래 주요 계열사들의 독립경영을 근간으로 성장해 왔으나 견제·감시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미비했다는 지적에 따른 대응책이다.
카카오는 6일 오전 김 센터장을 비롯한 20여명의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2차 공동체 경영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김 센터장을 비롯해 주요 공동체 최고경영자(CEO)가 참여하는 경영쇄신위원회는 카카오가 위기를 극복할 때까지 공동체 전체의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는 역할을 맡는다.
정보기술(IT) 업계 안팎에서는 현재 위기가 카카오식 경영·인사 관리 시스템에서 기인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과거 동고동락한 임원을 중용하는 김 센터장의 인사 방식은 카카오를 대기업 집단으로 성장시킨 원동력이었으나 경영 신뢰성을 저해하는 원인이 됐다는 의미였다.
카카오를 사법 리스크로 몰아넣은 SM엔터테인먼트 주가 시세조종 사건만 하더라도 인수를 주도한 배재현 투자총괄대표를 향한 김 센터장의 신뢰와 견제 시스템 부재가 원인으로 꼽혔다.
'100인의 CEO 육성'은 카카오 설립 당시부터 김 센터장이 내세운 경영철학이다. 이를 토대로 한 공격적인 인수합병(M&A)과 상장 등을 거쳐 카카오는 금융, 엔터테인먼트, 커머스 등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하지만 자율 경영 기조가 각 CEO에게 강한 동기부여를 줬을진 몰라도 위기 상황에선 악재로 작용했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이 때문에 김 센터장과의 인연을 중심으로 이뤄졌던 인사 시스템을 바꿀 기회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주요 계열사 CEO들이 내년 3~4월을 기점으로 임기 만료를 앞둔 만큼 대대적인 인적쇄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마저 나왔다.
김 센터장은 경영회의를 통해 자율 경영에 제동을 걸겠다는 뜻을 명확하게 했다. 자율보다는 책임에 방점을 둬 시장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김 센터장은 이날 회의에서 "카카오는 이제 전 국민 플랫폼이자 국민 기업이기에 각 공동체가 더 이상 스스로를 스타트업으로 인식해선 안 된다"며 "사회가 카카오에 요구하는 사회적 눈높이에 부응할 수 있도록 책임 경영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준법과 신뢰 위원회' 설치·운영 방안 등도 논의됐다. 카카오는 이달 3일 카카오 관계사의 준법·윤리경영을 감시할 외부 기구인 해당 위원회를 연내 공식 출범하기로 하고, 초대 위원장에 김소영 전 대법관을 위촉했다.
앞서 김 센터장은 위원회 출범과 관련 "준법과 신뢰에서 어긋나는 계열사 행동이나 사업에는 책임을 묻겠다"고 했다. 그동안 임직원에게 자율성을 부여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책임을 따지겠다는 건 강도 높은 발언으로 해석됐다.
이를 위해 카카오 주요 관계자도 해당 위원회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위원회는 개별 관계사의 준법 감시 및 내부 통제 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강력한 집행 기구 역할을 맡는다.
가맹택시 수수료를 비롯한 카카오모빌리티 쇄신안도 다뤄졌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수수료 체계 전면 개편을 위한 택시 단체들과의 긴급 간담회를 준비 중이다. 수렴된 의견을 바탕으로 전면적인 수수료 체계 개편에 나설 계획이다.
김 센터장은 "지금까지 각 공동체의 자율과 책임경영을 위해 권한을 존중해 왔지만, 창업 당시의 모습으로 돌아가 위기 극복을 위해 앞장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양한 분야의 이해관계자들을 직접 만나 발로 뛰며 소통하겠다"고도 했다.
cho8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