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이두나!' (넷플릭스 제공) |
드라마·영화로 제작된 네이버웹툰 웹툰·웹소설 지식재산권(IP) 거래액이 영상화 후 평균 440배 올랐다는 분석이 나왔다. 거래액은 원작 웹툰·웹소설을 보기 위해 독자들이 네이버웹툰에서 소비한 금액이다.
2일 네이버웹툰에 따르면 최근 4년간(2019년 6월~2023년 6월) 영상물로 제작된 웹툰·웹소설(53개 작품) 거래액은 평균 439배 증가했다. 조회수는 33배 늘었다. 네이버웹툰은 영상 공개 한달 전 10일과 공개 후 10일을 비교했다.
영상화 이후 원작 IP로 독자 유입이 늘면서 디지털 재화 '쿠키'를 통한 유료 콘텐츠 구매로 이어졌다.
실제 올해 시장조사업체 오픈서베이에 따르면 2차 저작물을 접한 이용자 10명 중 5명(45.1%)이 원작을 따로 챙겨본다고 답했다.
![]() |
네이버웹툰 웹툰·웹소설 작품 거래액 (네이버웹툰 제공) |
지난달 20일 공개된 글로벌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이두나!'의 동명 원작 조회수와 거래액은 각각 17배·20배 증가했다.
영상화는 원작자의 다른 작품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9월 공개돼 큰 인기를 얻은 넷플릭스 드라마 '마스크걸'의 원작 웹툰을 만든 매미(글)·희세(그림)의 '팔이피플'·'위대한 방옥숙'의 조회수는 18배·40배씩 상승했다.
현재 네이버웹툰은 자회사 스튜디오N(엔)과 왓패드 웹툰 스튜디오 등을 통해 총 300개 이상의 영상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또 △낮에 뜨는 달(ENA) △비질란테(디즈니+) △스위트홈2(넷플릭스) △열녀 박씨 계약결혼뎐(MBC), 운수 오진 날(티빙, 파라마운트+) △이재 곧 죽습니다(티빙·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넷플릭스)가 연내 공개될 예정이다.
정보기술(IT) 업계는 지속적인 IP 거래액 상승이 네이버웹툰의 실적 개선에 도움을 줄지 주목한다. 내년을 목표로 미국 상장을 준비하는 네이버웹툰은 영업적자를 해결하는 게 오랜 과제로 꼽힌다.
네이버웹툰은 올해 1분기에도 매출 3531억원, 영업손실 241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는 분위기가 달랐다. 매출 3696억원·영업손실 130억원을 냈지만, EBITDA(상각 전 영업이익) 흑자 전환에 재진입했다. 웹툰 마케팅비 효율화로 전년 동기 대비 적자 폭을 약 250억원 줄인 결과다.
woobi123@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