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장관이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70주년(10월1일)을 앞두고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국제교류재단(KF)과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개최한 한미전략포럼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은 워싱턴특파원단 제공. © News1 김현 특파원 |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은 25일(현지시간) 한미 동맹이 지난 70년간 "핵심 안보 동맹(key security alliance)에서 필수적인(vital)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성장했다"고 평가했다.
블링컨 장관은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70주년(10월1일)을 앞두고 이날 워싱턴DC에서 국제교류재단(KF)과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개최한 한미전략포럼에 참석, 기조연설을 통해 한미 동맹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고, 중요성도 날로 커지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또 한미 동맹은 "무엇보다 매우 긴밀한 인적·경제적 관계, 그리고 우리가 공유하는 세계를 위한 민주적 가치와 그 비전에 대한 증거"라며 "우리 국민과 인도·태평양, 전 세계를 위한 중요한 많은 우선 순위에서 우리는 한국과 파트너십 속에서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안보를 시작으로, 모든 방면에서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7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우리는 자유와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목숨을 바치며 함께 싸웠던 수천명의 군인들의 희생을 토대로 동맹을 맺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어로 '같이 갑시다'를 언급, "한미 동맹은 '같이 갑시다'라는 공동 정신에 기반한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오늘날까지 굳건하게 유지됐다"고 강조했다.
블링컨 장관은 특히 "탄도미사일 발사를 포함해 북한의 도발적 행동에 맞서 확장억제를 시작으로 상호 방위에 대한 (미국의) 공약은 철통같다"며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것이며, 한반도와 그 너무의 안정을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진 것과 관련, "김정은의 이번 달 러시아 방문을 통해 북한이 안보에 대한 광범위한 위협이 되고 있다는 것이 분명하게 입증됐다"며 "북러간 군사협력은 세계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북러 관계에 대해 "위험한 양방향의 관계"라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략을 위해 물자 공급과 기술을 필사적으로 구하고 있고, 북한은 단지 자신들의 미사일 프로그램을 진전시키기 위한 도움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지난 4월 윤석열 대통령의 국빈 방미 당시 발표했던 '워싱턴 선언'을 거론, "우리는 벌써 몇 개월 만에 워싱턴 선언을 구체적인 조치로 옮기고 있다"면서 40년만에 전략핵 잠수함이 부산에 기항했고, 신설된 핵협의그룹(NCG)이 두 차례 회의를 개최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또 지난달 캠프 데이비드에서 개최된 한미일 정상회의에 대해 "우리는 역사적이라는 단어를 조금 느슨하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것은 그 단어의 정의에 정말로 부합한다고 생각한다"며 이는 한미일 3국간 협력의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한 해 동안 한국과 일본은 어렵고 민감한 역사 문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해 왔다면서 "이것은 정치적 용기과 개인적 헌신"에서 시작한다고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노력을 평가했다.
블링컨 장관은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의 실시간 공유체계 구축 등 3국 정상회의에서 합의된 사항을 거론한 뒤 "우리는 이미 이달 초 실패한 북한의 2차 위성 발사 시도에 대응해 강화된 3국 협력이 차이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기회를 가졌다"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안보 동맹이 필수적이고 그것이 우리 파트너십의 기초에 있지만, 양국 관계를 중요하게 만드는 유일한 요소는 아니다"면서 "한미 자유무역협정이 비준된 이후 우리는 경제적 파트너십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SK실트론, 한화큐셀 등의 대미 투자 사례를 거론, "지난 2년간에만 한국 기업들은 1000억 달러 이상을 미국에 투자해 혁신을 주도하고 미국 및 한국인 노동자들을 위해 좋은 일자리를 창출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양국간 이런 투자는 우리의 핵심적인 공급망을 강화하고 신뢰할 수 없는 공급자에 대한 우리의 의존을 줄인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술과 혁신은 오랫동안 양국 경제 전략의 토대가 돼 왔다"면서 한미간 과학기술 분야 등에 대한 협력을 거론, "우리는 글로벌 도전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한국의 지원, 국제 다자개발은행 개혁 협력 등을 소개하면서 "내년에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활동하는 한국이 유엔 헌장을 수호하기 위해 낼 강력한 목소리를 기대한다"면서 "이것은 코리아라는 브랜드에 있어 특별한 순간"이라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여러분이 보는 것은 다음 세대의 파트너십을 위해 한미간 공유하는 특별한 야망(ambition)"이라며 "지난 몇년간 우리는 비전을 실현하는데 큰 진전을 이뤘으며, 우리는 미래에, 향후 정부에서도 계속될 수 있도록 협력을 제도화하기 위한 조치를 우선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그는 넷플릭스에서 한국 프로그램이 인기 목록에 있다는 점 등도 언급하면서 한국의 대중문화를 평가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영상 축사에서 "한미과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하고 성공적인 동맹을 구축했다"면서 "지난 70년간 새로운 도전에 맞서 한미 동맹은 견고성과 적응력을 증명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은 불법적인 핵·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부족한 자원을 낭비하고 있다. 주민들은 굶주리고 경제난을 겪는데도 북한은 기록적인 수의 미사일과 소위 위성을 발사했다"면서 "북한의 행동은 비이성적이고 무책임하며 부도덕하다"고 비판했다.
gayunlov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