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진 외교부 장관이 20일(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우크라이나 관련 공개토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외교부 제공) |
박진 외교부 장관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공개토의에서 북한과 러시아 간 무기 거래의 위법성을 강조하며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응을 촉구했다.
23일 외교부에 따르면 박 장관은 유엔총회 참석 계기에 20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 본부에서 개최된 유엔 안보리 우크라이나 공개토의에 참석해 "북한의 군사 역량을 강화시키는 거래는 유엔 안보리 결의의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박 장관은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안보리 결의를 완전히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2024~25년 임기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안보리가 국제평화와 안보를 수호하는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해나갈 수 있도록 책임 있는 역할을 수행하겠다"라고 말했다.
박 장관은 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은 유엔 헌장과 국제법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지적하며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과 평화 회복을 위한 우리 정부의 지원 노력을 설명했다.
박 장관은 18일엔 알제리, 가이아나, 시에라리온, 슬로베니아 등 신규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외교장관과 회동해 상호 협력 방안을 협의했다.
이 자리에서 박 장관은 최근 안보리가 진영 갈등 등으로 주요 현안에 대해 합의를 이루지 못하는 상황에서 비상임이사국들이 뜻을 모아 상임이사국을 설득하고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협력하자고 강조했다.
또 한국이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수임 기간 평화유지·평화구축, 여성·평화·안보, 사이버안보, 기후와 안보 등에 중점적으로 기여할 계획이라고 설명하고, 이들 분야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기 위해 비상임이사국들과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21일 카트린 콜로나 프랑스 외교장관과의 회담에서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행위에 대해 프랑스가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엄중히 대응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콜로나 장관은 전적으로 동의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박 장관은 같은 날 엘리나 발토넨 핀란드 외교장관과도 만나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및 북러 간 군사협력 협의 등 최근 한반도 상황을 설명하면서, 핀란드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단호하고 단합된 대응이 이뤄질 수 있도록 협조를 당부했다.
hg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