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2일 충남연구원 대회의실에서 ‘KBS 복합방송시설 설립의 당위성과 기대효과’ 정책릴레이 세미나가 진행되는 모습.(충남도 제공)/뉴스1 |
충남도민의 방송주권 회복 등의 개선과제로 자체 뉴스 제작과 송출 기능을 갖춘 KBS 복합방송시설 건립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수도권인 인천, 경기를 제외하고 지역방송이 없는 곳은 충남이 유일하다.
23일 충남도에 따르면 충남연구원은 전날 연구원 대회의실에서 각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KBS 복합방송시설 설립의 당위성과 기대효과’ 정책릴레이 세미나를 열었다.
발표에 나선 양선희 대전대 교수는 “충남은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지역방송국이 존재하지 않는 방송 서비스의 불모지”라며 “도민의 불평등과 소외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3월 1일부터 세 달간 KBS 대전총국의 뉴스7에서 보도된 총 208건의 뉴스를 분석한 결과 △전국 뉴스 76건(36.5%) △대전 51건(24.5%) △충남 32건(15.4%) △세종 10건(4.8%) △기타(2개 지역 중복, 타지역, 해외 등) 39건(18.8%)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내 15개 시·군별 보도 현황을 보면 지역별로 특화된 보도보다는 도민 전체에 해당하는 행정 아이템과 관급 뉴스가 많았으며 계룡·서천·청양·태안 지역의 보도는 단 한 건도 없었다.
양 교수는 “무엇보다 뉴스7의 취재지역별 평균 뉴스 시간량에서 충남은 81.8초로 대전 128.6초, 세종 119.2초보다 현저히 짧았다”며 “뉴스 생산 거점의 접근성 등 근본적 변화 없이는 해결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KBS 충남방송총국 건립을 추진을 위해 △민·관·정·산·학의 범시민적 캠페인 전개 △KBS 인재개발원 유치(건립 재원 확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및 방송인력 양성 등 교육 특화형 시설 육성 등을 제안했다.
양 교수는 “이는 도민의 방송주권 회복을 실현하고,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도 방송법에서 규정한 KBS의 공적 책임을 다한 상징적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명숙 충남도의회 기획경제위원장은 “KBS 복합방송시설의 핵심은 각종 정보로부터 불평등을 받는 도민을 위한 뉴스 제작과 제공, 지역 특화 재난방송의 구현”이라며 “13년째 빈터로 남은 KBS 부지를 제대로 활용하도록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한편 충남도는 KBS 복합방송시설 조기 건립을 위해 정치권과 적극적인 공조를 펼쳐나가는 한편 KBS와의 업무협약 체결 등 다각적인 노력을 펼쳐나갈 방침이다.
knlucky@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