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윤 "가짜뉴스, 자유민주주의 위협"…'권리장전' 공감대(종합)

뉴욕대서 1년만에 디지털 비전포럼…AI 질서 선도
"권리장전 원칙, 미국이 추구하는 가치와도 같아"

(뉴욕=뉴스1) 정지형 기자 | 2023-09-22 04:01 송고 | 2023-09-22 04:22 최종수정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9월2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대 키멜센터에서 열린 디지털 비전 포럼에서 연설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2.9.23/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9월2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대 키멜센터에서 열린 디지털 비전 포럼에서 연설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2.9.23/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AI(인공지능)와 디지털 오남용이 만들어 내는 가짜뉴스 확산을 방지하지 못하면 자유민주주의가 위협받는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미국 뉴욕대에서 열린 디지털 비전 포럼에 참석해 "(가짜뉴스 확산으로) 자유민주주의에 기반한 시장경제가 위협받게 되며 우리의 미래와 미래세대의 삶 또한 위협받게 된다"며 이같이 연설했다.

제78차 유엔(UN) 총회 고위급 회기 참석을 위해 뉴욕을 방문 중인 윤 대통령은 지난해에 이어 1년 만에 뉴욕대를 다시 찾아 디지털 비전 포럼을 열었다.

린다 밀스 뉴욕대 총장은 정확히 1년 만인 이날 윤 대통령이 다시 자리를 해준 것에 감사를 표했다.

지난번 방문에서 윤 대통령은 AI와 디지털 기술 고도화에 따른 새로운 디지털 규범 질서가 필요하다며 '뉴욕 이니셔티브'(뉴욕 구상)를 내놨다.

윤 대통령은 이번 연설에서도 "디지털은 국경이 없고, 연결성과 즉시성을 갖고 있다"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보편적 디지털 질서가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올해 포럼에서 지난 1년간 세계경제포럼(WEF·세계경제포럼), 하버드대, 파리 소르본대 등에서 새 디지털 질서에 관해 논의한 내용을 종합한 '디지털 권리장전' 발표 계획을 공개했다.

윤 대통령은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는 대한민국의 경험과 철학을 담은 디지털 권리장전을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라며 "국제사회가 함께 미래 디지털 사회를 만들어 가기 위한 5대 원칙을 담은 헌장"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디지털 심화 시대에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준이 될 것"이라며 "권리장전을 통해 만들 미래사회는 디지털 향유권이 인간의 보편적 권리로 보장돼 누구나 그 혜택을 마음껏 누릴 수 있는 사회"라고 했다.

디지털 권리장전에 담긴 5대 원칙은 △자유와 권리의 보장 △공정한 접근과 기회의 균등 △안전과 신뢰의 확보 △디지털 혁신의 촉진 △인류 후생의 증진 등이다.

특히 윤 대통령은 안전과 신뢰 원칙과 관련해 가짜뉴스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미래세대의 삶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AI와 디지털의 개발과 사용이 공동체의 위험을 초래하지 않도록 위험 정보는 즉각 공유되고 공표돼야 한다"며 "상응하는 적정 조치가 이뤄지는 규제 시스템이 만들어지고 유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국제사회를 향해 디지털 권리장전을 토대로 '디지털 공동번영사회' 실현을 위해 함께해달라고 제안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6월 파리에서 제안한 국제기구 설치를 포함한 글로벌 디지털 규범 정립을 위해 대한민국은 필요한 역할을 다할 것"이라며 "세계와 연대해 인류의 자유와 후생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디지털 혁신을 이뤄나갈 것"이라고 했다.

이날 뉴욕대에서는 또 카이스트(KAIST·한국과학기술원)·정보통신기획평가원·소프트웨어산업진흥협회와 뉴욕대 간에 '한-미 AI 디지털 비즈니스 파트너십'이 체결됐다.

한미가 AI 분야에서 인력 양성부터 연구개발, 사업화까지 전 주기에 걸친 협력 통로를 마련한 것으로 한미 간에 AI 연대의 기반이 구축됐다.

포럼에서는 윤 대통령 연설에 힘을 보태는 참석자 발언이 이어졌다고 이도운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으로 전했다.

세투라만 판하나탄 국립과학재단 총재는 "대통령이 밝힌 권리장전의 원칙들은 전 세계가 함께 공유할 가치들이며 미국이 추구하는 가치와도 같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AI 석학인 얀 르쿤 교수도 "AI에 대한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해 산학협력, 국제협력 등 개방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한-뉴욕대 간 파트너십을 크게 환영했다.

이날 포럼에는 마리아 토레스-스프링거 뉴욕시 부시장, 마크 리퍼트 전 주한미국대사,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 조준희 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 등도 자리했다.


kingkong@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