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철조망에 갇힌 태안 안흥진성 50년 만에 ‘국민품으로’

발굴·복원·정비 거쳐 2026년부터 자유롭게 출입 가능

(태안=뉴스1) 김태완 기자 | 2023-09-21 17:25 송고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왼쪽)이 21일 안흥진성 개방·정비를 위한 군사시설 보호구역 해제를 요구하며 집단민원이 제기된 충남 태안 안흥진성 현장을 찾아 가세로 태안군수 등과 둘러보고 있다.(태안군 제공)/뉴스1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왼쪽)이 21일 안흥진성 개방·정비를 위한 군사시설 보호구역 해제를 요구하며 집단민원이 제기된 충남 태안 안흥진성 현장을 찾아 가세로 태안군수 등과 둘러보고 있다.(태안군 제공)/뉴스1

1976년부터 국방과학연구소 안흥센터 보호용 철조망에 갇혀 있던 충남 태안 안흥진성이 50년 만에 일반 국민에게 개방된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1일 충남 태안 근흥면사무소에서 김홍일 위원장 주재로 태안군민 1만9544명이 제기한 안흥진성 정비 및 개방을 위한 군사시설 보호구역 해제를 요구하는 집단 고충민원을 조정했다.

이번 조정으로 안흥진성은 발굴과 복원을 거쳐 2026년부터 누구든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안흥진성은 서해안 방어를 위한 요충지로 선조 16년(1583년)에 지어진 성벽 높이 3.5m, 둘레 1717m 규모의 석성(石城)이며, 2020년 11월 국가사적 제560호로 지정되는 등 문화재로써 가치가 높다.

무기시험소인 국방과학연구소 안흥센터가 1976년 1월 문을 열면서 보호용 철조망이 설치돼 안흥진성의 45.3%에 해당하는 777m 구간의 출입이 전면 차단됐다.

이후 1989년 12월에 보호구역으로, 2022년 8월에 국가중요시설로 지정되면서 성벽이 무너지거나 붕괴 직전 상태에도 복원·정비를 하지 못했다.

이에 태안군민(6만1023명)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1만9544명은 지난 3월 ‘안흥진성을 발굴 및 복원해 국민에게 개방할 수 있게 보호구역을 해제해 달라’며 국민권익위에 집단 고충민원을 제기했다.

국민권익위는 고충민원을 접수한 즉시 부위원장이 현장을 방문하는 등 여러 차례의 현장 조사, 주민 의견 수렴 및 관계기관과 협의를 거쳐 최종 조정안을 마련했다.

국민권익위의 조정안에 따르면 충남 태안군과 국방과학연구소는 2025년까지 개방 범위를 정해 발굴 및 복원하고 안흥진성 종합정비계획에 따라 나머지 부분도 정비한다.

문화재청은 태안군이 빠른 시일 내에 안흥진성을 발굴 및 복원 등 정비를 하고 국민에게 조속히 개방할 수 있도록 협력하고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태안군과 국방과학연구소는 국방력 강화를 위한 원만한 무기 시험·평가를 지원하고 안흥진성을 성공적으로 정비해 조속히 국민에게 개방할 수 있게 상호 협력한다.

김홍일 국민권익위 위원장은 “안흥진성은 과거의 국방을, 안흥센터는 현재의 K-방산을 상징하는 곳”이라며 “안흥진성을 조속히 복원하고 개방해 관광 활성화와 국방력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ktw3412@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