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양 노동신문=뉴스1) =지난 2월 조선인민군 창건일(건군절) 75주년을 맞아 개최된 열병식에 참석한 김정은 총비서 모습.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
북한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정권수립일 75주년(9·9절)을 맞아 열린 '민방위무력 열병식'에 딸 주애와 함께 참석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9일 "공화국 창건 75돌경축 민방위 무력 열병식이 8일 수도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성대히 거행됐다"라고 보도했다.
김 총비서는 '존경하는 자제분' 즉 딸과 함께 리병철·박정천 원수와 주석단에 자리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간석지 제방 붕괴 사건으로 '당적 검토' 대상이 된 김덕훈 내각총리도 가장 먼저 이름이 호명되며 주석단에 등장했다.
이번 열병식에는 정권수립기념일 75주년을 축하하기 위해 방북 중인 류궈중 국무원 부총리를 단장으로 하는 중국 대표단, 알렉산드로브 명칭 러시아군대아카데미협주단 단원들, 주북한 중국 및 러시아 대사관 인사들도 초청됐다.
이날 김 총비서는 별도의 연설은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당 민방위부장인 오일정의 준비검열을 이후 열병식이 본격 진행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번 열병식은 당초 '민간무력 열병식'으로 명명됐으나 신문은 '민방위무력 열병식'으로 이름을 바꿔 보도했다. 우리의 경찰 격인 사회안전군은 참가하지 않고 우리의 민방위와 비슷한 노농적위군을 중심으로 열병식이 진행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비롯한 북한 정규군의 핵전략무기들도 등장하지 않았다.
북한의 이번 열병식은 지난 2월 건군절(조선인민군 창건) 75주년과 7월 '전승절'(한국전쟁 정전협정체결일) 70주년에 이어 올해만 세 번째다.
somangchoi@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