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집값 다시 오른 세종시…"특정직업군 도시 보완해야"[송승현의 손바닥부동산]

집값하락 1위에서 5월 5주 0.13% 상승 급변
높은연봉·평균자산 1위 장점…"교통개선-다양성 확보 숙제"

(서울=뉴스1)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 | 2023-06-05 07:51 송고
24일 세종시 생활권에 들어서 있는 아파트 단지. 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2004년 지역 균형발전의 일환으로 신행정수도 특별법이 제정됐다.

이 법을 바탕으로 8년 후인 2012년 7월 세종시가 탄생했다. 세종시는 비수도권에서는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신도시로 급부상 중이다.
그만큼 세종시는 큰 관심과 논란의 중심이다. 2020년 정치권에서 행정수도 이전론(천도론)으로 지역적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전국적으로 투자 수요가 유입됐고, 집값이 크게 상승하면서 전국 집값 상승률 1위를 찍었다. 시장에서는 정치인들처럼 서울에 하나, 세종에 하나 집을 사야 한다는 ‘서세원’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세종시는 인근 지역의 인구나 경제력을 흡수하면서 그 영향력을 키웠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2022 가계금융복지’에 따르면 세종시의 근로소득은 5437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가구주의 평균 연령대는 낮지만, 세종시 가구당 근로소득 수준이 높다. 연봉이 안정된 직장에 근무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2012년 국무총리실을 시작으로 현재 43개 중앙행정기관이 이전을 완료했다. 16개 국책연구기관도 자리 잡고 있다. 가구당 금융자산 역시 1억4555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서울과 2020년 한 해 동안 아파트 가격이 급격히 상승한 세종시는 가구당 평균 자산이 전국 2위이기도 하다.

세종시는 2022년 금리 인상과 집값 고점에 대한 시장의 분위기와 함께 집값 하락률 1위라는 불명예도 얻었다. 상승세에서 하락세로 가장 먼저 맞이한 곳이다.
집값이 하향 곡선을 그리는 기간에도 지방에 유일하게 조정대상지역으로 남기도 했다. 청약 열기도 높고 미분양도 우려도 없어 규제를 풀지 않았다. 가격은 급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융·거래·세금 등의 규제를 적용받기도 해 해당 지역에서 반발이 컸다.

시장에선 정부가 세종시를 규제지역으로 유지한다는 것은 정부가 집값이 오를 지역을 찍어 준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규제지역이 해제 시 주택수요가 몰릴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세종시는 규제지역에서 해제됐다.

하락세에서 상승세로 가장 먼저 바뀐 곳도 세종이다. 세종시의 최근 매수심리 회복으로 상승세로 전환됐다. 5월 5주 부동산원의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살펴보면 전국적으로 매매가격은 0.04% 하락, 전세가격은 0.06% 하락했다. 하지만 세종은 0.13%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역시 서울 0.05%와 함께 세종 0.03%는 상승세 지속하고 있다.

인구와 주택가격은 상관성은 크다. 세종시는 전국적인 인구감소를 고려할 때 50만명이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세종시의 단계별 인구수용 계획을 보면 초기 활력 단계(2007~2015년)엔 최초 이주민과 중앙행정기관 및 정부 출연 연구 기관의 이전 그리고 도시 행정기능 도입 등을 통해 인구 15만명을 목표는 달성했다.

이후 자족적 성숙단계(2016~2020년)를 통해 문화․국제교류, 대학, 의료복지, 첨단 지식기반기능 일부가 유입됐다. 최종적으로 완성단계(2021~2030년)를 통해 첨단지식기반기능, 상업 업무 기능이 추가로 유입돼 목표인구인 50만명을 달성하도록 계획하고 있다.

인구 유입이 정체로 오는 2030년 50만 명 달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특정 직업군만으로는 미래 인구증가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산업의 확장과 대기업 이전 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불가능에 가깝다.

현재 불편한 교통, 획일화된 주택 유형과 거주민들은 개선돼야 한다. 다양성이 없는 문화 역시 도시의 매력도를 잃는다. 향후 보완하지 못한다면 수요층의 이탈을 막을 수 없다.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h9913@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