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글로벌 백신 허브' 노리는 한국…빅파마 R&D센터 유치 팔걷는다

정부 2025 글로벌 백신 허브 구축 목표…국내 기술 아직 미흡
해법은 협력 강화…다국적 빅파마 연구센터 국내 유치 정조준

(서울=뉴스1) 김태환 기자 | 2022-07-13 06:10 송고
© News1 DB
© News1 DB

정부가 국내 제약 산업을 글로벌 백신 허브로 만들기 위해 글로벌 '빅파마(Big phama)'의 R&D 센터를 국내에 유치하는 방안을 강구한다. 국내 기술력이 아직 미흡한 만큼 해외 연구개발 인프라를 국내에 끌어들여 사전 협력 관계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13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따르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이달 글로벌 백신 기업 연구센터 유치 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 용역 긴급 입찰 공고를 발주했다. 사업 소요예산은 2억4000만원으로 오는 22일까지 1차 입찰을 진행한다.

이 용역 연구는 글로벌 제약회사의 연구센터와 기술을 유치한 해외 다른 나라의 사례를 살펴보고, 글로벌 제약회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국내 유치 시 필요한 인센티브 경쟁 요소를 파악하는 내용이다.

국내 기업인 SK바이오사이언스가 지난 달 국내 첫 코로나19 예방백신 '스카이코비원' 허가를 획득했지만 아직까지 국내 기술만으로 블록버스터 백신을 개발하기에는 산업 내 경험과 역량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현재 BCG나 일본뇌염과 같이 국가 차원에서 예방접종 백신 28종 가운데 21%인 6종만 원액 생산만 가능한 실정이다. BCG와 일본뇌염, 폐렴구균, B형 인플루엔자 등 나머지 21종 백신은 전량 수입에 의존한다.
또 특허와 논문 수 등을 기준으로 진행한 국내 감염병 대응 기술 수준은 자체 분석 결과를 볼 때 선진국 대비 약 80%의 수준으로 파악되고 있다. 미국, 유럽과 비교하면 3년, 중국과도 1년간의 기술격차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자체 개발 능력이 부족한 만큼 이미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글로벌제약회사들과 협력 지점을 넓혀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백신에 필요한 단순 제조 공정 이상의 핵심 전문인력과 접점을 확보해야 한다.

실제 국내에 다국적제약회사의 세포배양배지 제조나 국제백신연구소(IVI)처럼 글로벌 기관, 연구소를 유치한 사례는 있으나 해외 제약회사의 R&D 연구센터는 전무하다. 연구 협력을 이끌어 내는 데 한계가 있다.

코로나19 백신을 개발 중인 국내 바이오기업 관계자는 "해외 R&D센터가 들어오려면 세제 지원 등 우리나라만의 차별화된 인센티브가 필수"라며 "핵심적인 연구 인력과 교류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해외 기술 협력을 이끌기에 더 유리하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우리나리의 글로벌 백신 허브 도약을 위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2026년까지 총 2조2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글로벌 생산협력 확대와 백신 허브 기반 구축 등으로 2025년 백신 산업 세계 5위를 달성할 계획이다.


call@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