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정전기를 사물인터넷(IoT) 등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전기로 바꾼다

GIST 박찬호· 전남대 박종진 공동연구팀…기존 에너지 전환 효율 40배 향상기술

(광주=뉴스1) 조영석 기자 | 2022-05-30 16:47 송고
마찰전기 전극에 전하를 주입하여 저장하는 개략도(GIST 제공) © 뉴스1
마찰전기 전극에 전하를 주입하여 저장하는 개략도(GIST 제공) © 뉴스1

문손잡이를 잡거나 머리카락을 빗을 때 발생하는 마찰전기(정전기)를 전기에너지로 전환, 상용화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에너지융합대학원 박찬호 교수와 전남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박종진 교수 공동연구팀은 30일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마찰전기 에너지를 보다 높은 효율의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마찰전기 에너지의 발생 소재 표면을 더 많은 양(+)과 음(-)의 기전력을 가질 수 있는 상태로 변환시켜 마찰전기 서열을 자유자재로 바꿀수 있는 방법이다.     

기존 마찰전기 에너지의 전환 효율을 40배가량 향상시킨 기술로, 향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원이나 사물인터넷(IoT) 등에 사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다공성 탄소의 외부 비표면적이 클수록 전하를 잘 붙잡고, 작을수록 전하 이동이 빨라지는 현상을 이용, 외부 비표면적을 변화시킨 다공성 탄소 세 종류를 적층해 전하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마찰전기 저장 효율을 향상시켰다.     
연구진은 다공성 탄소를 사용하지 않은 기존 마찰전기 발전기의 경우 15.2V의 출력 전압을 나타냈지만, 이번 연구의 방법과 재료를 사용할 경우 기존보다 약 40배 향상된 600V의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기존 마찰전기 에너지 하베스팅 연구에서는 단순한 표면 화학구조의 변화나 물리적인 표면적 향상에 초점을 두었다.     

반면 이번 연구는 다공성 탄소를 이용하여 마찰전기 발전기 재료 내부에서의 전하 이동과 저장 현상을 설명함으로써 후속 연구에서 다양한 소재 개발, 재료 구성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SIST· 박찬호 교수는 "다공성 탄소 소재를 활용해 주변에서 버려지는 마찰전기나 정전기를 실제 활용할 수 있는 전기로 수확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조했다"며 "향후 소재 개발을 통해 실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남대 박종진 교수는 "마찰전기를 담지할 수 있는 다공성 소재 개발은 최근 다양한 마찰전기 기반의 에너지 수확 시스템에서 높은 효율의 에너지 발생 효율을 기대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필요한 자가발전 소재로 응용 가능한 핵심 소재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지스트 GRI(GIST 연구원) 사업 및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기술혁신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의 국제 저명 학술지인 'Small Methods'에 전면 내부 표지 논문(Inside Front Cover)으로 지난 18일 게재됐다.

    
 



kanjoys@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