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미주 한인母 "한동훈 딸 스펙 해명에 지옥 같은 시간…우리가 피해자"

(서울=뉴스1) 소봄이 기자 | 2022-05-18 11:01 송고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17일 오후 취임식이 열리는 경기도 과천 법무부 청사에 들어서고 있다.  © News1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17일 오후 취임식이 열리는 경기도 과천 법무부 청사에 들어서고 있다.  © News1 
미국에서 자녀를 키우고 있는 한인 교포가 한동훈 법무부 장관 딸의 스펙 의혹을 비판하며 국제 청원을 올렸다.

미주 교포 엄마라고 소개한 청원인 A씨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민간 청원 플랫폼인 '체인지' 사이트에 '한동훈 딸의 허위 스펙 의혹에 대한 미주 한인들의 입장문'이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A씨는 "한동훈 딸의 스펙 쌓기 관련 각종 의혹과 해명을 지켜보던 지난 며칠 간은 우리에게 지옥 같은 시간이었다"고 운을 뗐다. 그는 "미국에서 입시를 겪었거나 겪게 될 자녀를 둔 당사자들 입장이기에 더욱 또렷이 보일 수밖에 없었던 이 사태의 본질은 한국 특권층이 미국 명문대 진학을 위해 촘촘히 설계하고 실행했던 조직범죄였다"고 말했다.

이어 "새 정부 법무부 장관의 가족이 얽혀 있는 범죄 카르텔의 직간접적인 피해자는 다름 아닌 바로 우리들의 자녀라는 사실이 우리를 공분하게 한다"며 "새 정부가 내세운 바로 그 가치, 공정과 정의의 참뜻이 무엇인지 묻고 싶다"고 했다.

A씨는 한 장관 딸 의혹에 대해 "약탈적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한 것은 한국의 일부 비양심적인 고액의 미국 입시 컨설팅 업체들이 허위로 학생들의 우수한 학문적 잠재성을 포장하는 전형적인 방식"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한 장관이 "딸이 쓴 건 논문이 아니고 에세이 등을 모은 것"이라는 취지로 해명한 것을 두고 "그 글들을 개인 블로그나 학생들의 일반적인 의견 교환 채널 등이 아니라 왜 일명 '약탈적 학술지'에 'Independent Researcher'(독립 연구자)라는 이름으로 출간했느냐"고 따졌다.

또 A씨는 "반복적인 표절의 문제와 대필 저자의 문제는 미성년자의 미숙한 실수에서 비롯된 것으로만 치부할 수 없다"며 "‘고등학생이 충분히 쓸 수 있는 정리 수준의 글'이라는 한 장관의 답변은 틀렸다. 교묘한 표절 글은 고등학생이 충분히 쓸 수 있는 글이 아니라 절대로 써서는 안 되는 글"이라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미국에서는 초등학생에게도 표절은 심각한 문제라고 학습시킨다. 타인의 저작물에서 아이디어와 연구 방법, 논문구조 등은 그대로 베끼고 단어와 문장구조만 변형하는 교활한 표절의 행태는 명백한 절도"라고 했다.

(체인지닷오알지 갈무리) © 뉴스1
(체인지닷오알지 갈무리) © 뉴스1
일부 논문의 대필 논란에 대해서 A씨는 "케냐 국적의 전문 대필 작가가 대신 써준 의혹에 대해 ‘온라인 첨삭 등의 외부조력은 있었다'는 것은 궁색한 변명이다. 일반적인 단순한 온라인 첨삭지도를 위해서라면, 굳이 케냐인 대필전문가가 필요했을 것 같지 않다"고 쏘아붙였다.

A씨는 "입시에 사용할 계획이 없었다는 해명은 면죄부가 되지 않는다"며 "직접적으로 입시에 활용하건, 입시용 스펙을 위해 간접적으로 활용하건, 부정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준비를 다 해놓고 입시에 사용할 계획이 없었다는 답변은 어불성설"이라고 했다.

부모의 도움으로 입시 컨설팅을 이용하거나 스펙쌓는 게 불법이 아니라고 주장한 A씨는 "우리가 분노하는 것은 한동훈 딸의 스펙에 드리워진 영악하고 교활한 어른들의 조직적인 개입"이라고 규탄했다. 그는 "검찰의 수사가 아니라 우리 같은 일반인들이 검색하고 확인해 지금까지 드러난 증거들만 모아놓고 보더라도 여러 부정이 얽혀 있는 한동훈 딸의 스펙이 순수하고 성실한 고교생이 단독으로 활동한 결과라고 보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A씨는 "다시 한번 한동훈에게 묻고 싶다. 입시에 사용할 계획이 없다는 말도 안 되는 이유로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느냐"며 "왜 당신들의 탐욕에 우리 아이들이 피해를 봐야 하며 왜 부끄러움은 우리의 몫이 되어야 하는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동시에 "한동훈 딸의 부정한 스펙 쌓기에 대한 우리의 질문은 이제 시작이다. 아무리 기만적인 말로 해명을 한다고 해도, 우리는 끝까지 파헤칠 것이고, 하나하나 검증하고 공론화할 것이고, 끝까지 질문할 것"이라며 문제 제기를 이어가겠다고 예고했다.

한편 이 청원은 18일 오전 10시 기준 7600명 이상의 동의를 받았다.


sby@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