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작년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증가 '선방'…"올해는 꺾이는 국면"

"기저효과보다 강한 회복세"…새해는 불확실성 산적
향후 경기 예측 선행지수 6개월 하락…통계청 "전환점 신호"

(세종=뉴스1) 서미선 기자 | 2022-01-28 13:26 송고
부산 강서구 부산신항 4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하역 작업이 진행되는 모습 © News1 이동해 기자
부산 강서구 부산신항 4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하역 작업이 진행되는 모습 © News1 이동해 기자

지난해 생산과 소비, 투자가 일제히 전년대비 늘면서 4년 만에 '트리플 증가'를 나타냈지만 올해는 녹록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해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타격이 컸던 2020년의 기저효과를 고려해도 경기 회복세가 강했으나, 올해는 오미크론 변이와 물가압력 등 불확실성이 산적한 탓이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1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해 전(全)산업 생산지수(농림어업 제외)는 112.5(2015년=100)로 1년 전보다 4.8% 증가했다.

2010년(6.5%) 이후 11년 만에 최대폭 증가다. 광공업 생산 중 기타운송장비, 금속가공 등에선 감소했지만 반도체(29.7%)와 자동차(4.6%) 등 생산이 늘었다.

특히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서비스업 생산도 모든 업종에서 늘어 4.3% 증가했다. 2007년 이후 14년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이다. 숙박음식점(1.4%), 예술·스포츠·여가(6.9%), 도소매(4.0%) 등 대면서비스업에 금융·보험(8.5%), 운수·창고(6.5%)도 늘었다.
소매판매액지수는 5.5% 늘어 11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의복·신발 등 준내구재 판매가 12.4% 늘었고 이에 기인해 백화점 판매도 21.7% 뛰었다.

설비투자는 건설기성(불변)이 4.9% 감소한 것을 제외하면 국내기계수주, 건설수주(경상)가 모두 오르며 1년 전보다 9.0% 증가했다.

통계청은 2020년 코로나19 여파로 전산업생산이 1.2% 감소한데 따른 반등 영향을 고려해도 기저효과보다 회복세가 강했다고 분석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2019년 대비로도 (전산업생산이) 3.6% 증가했다"고 부연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 "건설투자를 제외한 대부분 주요 지표가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며 위기에 강한 한국경제를 다시 한 번 입증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1.2로 0.2포인트 떨어져 6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어 심의관은 이를 "경기 전환점 발생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면서도 "상방요인과 하방요인이 교차하고 있고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상승을 유지하고 있어 지켜봐야 한다"고 언급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2.1로 0.7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올해도 이같은 회복세를 이어갈 수 있을진 미지수다. 기재부는 최근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 주요국 통화정책 전환 가속화 등으로 향후 지표흐름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도 "지난해 트리플 증가에도 국민 입장에선 기저효과가 있어 실제 (경기가) 개선됐다고 체감하긴 어려운 상태"라며 "올해는 다시 회복세가 꺾이는 국면으로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는 회복세 자체는 이어지더라도 물가오름세 속에 '상당한 불확실성 속 회복세'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성 교수는 "물가가 오르면 국민이 회복을 체감하기 어렵고, 물가오름세를 제어하기 위해 금리를 올릴 경우 금융시장 불안정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올해도 기저효과는 있겠지만, 재작년에 비해 작년에 있던 기저효과보다는 꺾일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물가상방 압력이 확대되는 상황은 소비지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성 교수는 "오미크론 상황이 개선된다면 소비가 늘겠지만 기본적으로 물가압력 하에선 소비, 수요는 부진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smith@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