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꾸준히 줄어들던 서울·부산·세종 미분양 주택…금융규제 후 '정체'

8월 금리인상·대출규제 단행 후 소진되던 미분양 정체·증가
유동자금 인천·경기 미분양 흡수…"2개월간 미분양 추이 주목"

(서울=뉴스1) 김희준 기자 | 2021-12-03 06:05 송고 | 2021-12-03 09:12 최종수정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 모습. 2021.11.22/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정부의 금리인상과 대출규제가 본격화된 8월 전후 서울과 부산, 세종 등의 집값 상승세가 주춤한 가운데 미분양 물량마저 불안한 양상를 보이고 있다. 

세종은 전혀 없었던 미분양 물량이 129채가 늘면서 집값 하락의 그늘을 짙게 드리우고 있다.

3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0월 말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에 따르면 10월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전달보다 223채(1.7%) 늘어난 1만4075채를 기록했다.

그중 서울 미분양 물량은 7월 59채에서 8월 55채로 줄어든 뒤 9월과 10월까지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사실상 악성 미분양이라고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까지 소진됐던 7월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 3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지방에선 부산 10월 미분양 물량이 873채를 기록해 전월보다 1.1% 늘었다. 그중 준공 후 미분양은 790채를 기록해 전월보다 5.6%나 증가했다.

역시 7월(982채)보다 8월의 미분양 물량(951채)이 줄었다가 이후 9월 962채, 10월 973채로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전국 아파트값 1위를 차지한 뒤 최근 꾸준히 집값 하락폭을 키우고 있는 세종시의 경우 미분양 물량이 9월까지 전혀 없다가 10월 129건으로 급증했다.

부동산업계에선 집값 급등세를 이어갔던 서울과 부산, 세종의 미분양 물량이 8월 이후 보합세를 보이거나 급증한 것에 주목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8월부터 기준금리 인상이 단행됐고, 가계부채 관리도 본격화됐다"며 "감소추세를 이어가던 서울의 악성 미분양을 포함한 물량이 3개월째 보합세를 유지하고, 부산도 그 시점부터 특히 악성 미분양이 늘어나고 있는 것은 이를 수용할 투자심리가 크게 꺾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8월 금융규제의 경우 최초 서울을 타깃으로 삼아 당시 유동성이 수도권에선 경기, 지방에선 1억원대 김해 아파트 등 경남지역으로 많이 유입됐는데, 10월 미분양 수치에도 이런 풍선효과가 뚜렷이 보인다"고 전했다.

실거래신고 기간이 1개월 정도고 이런 시간차가 고스란히 미분양 물량 증감에 반영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8월 중후반에 시작된 금융규제 기조로 빠져나간 유동자금이 인천과 경기, 경남 등 수도권 외곽과 지방의 저가 미분양 물량에 유입됐다는 설명이다.

실제 9월 매입, 10월 신고를 고려하면 각각 12.1%, 2.7% 줄어든 경기와 인천의 미분양 물량이 맞아떨어진다. 이외에도 외부 수요의 1억원대 중저가 아파트의 싹쓸이 매입으로 논란이 됐던 경남의 경우 10월 미분양 물량의 감소폭이 19.2%에 달한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여러 부동산지표가 집값과 주택거래심리의 하락추세를 나타내고 있고, 미분양 물량의 변동 추이도 시간차를 두고 이런 흐름의 변곡점에 도달했다"며 "11월 기준금리 추가 인상과 가계부채대책 이후 반영된 12월과 내년 1월의 미분양 지표는 상당히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h9913@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