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대저대교 어디에"…환경단체 "경전철 인근" vs 전문가 "기존 안대로"

부산시-환경단체, 대저대교 최적노선 위한 1차 원탁토론

(부산=뉴스1) 노경민 기자 | 2021-12-02 18:09 송고 | 2021-12-03 06:55 최종수정
부산시와 환경단체 '대저대교 최적노선추진 범시민운동본부'는 2일 부산시청 26층 회의실에서 대저대교 최적노선 도출을 위한 1차 라운드테이블 토론회를 열고 있다.2021.12.2/노경민 기자© 뉴스1
부산시와 환경단체 '대저대교 최적노선추진 범시민운동본부'는 2일 부산시청 26층 회의실에서 대저대교 최적노선 도출을 위한 1차 라운드테이블 토론회를 열고 있다.2021.12.2/노경민 기자© 뉴스1

교량 건립 위치를 두고 갈등을 빚어온 부산 대저대교 문제의 해법을 찾기 위해 전문가, 시, 시민단체가 머리를 맞댔지만, 사업성 및 환경 문제를 이유로 여전히 입장차가 확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와 환경단체 '대저대교 최적노선추진 범시민운동본부'는 2일 부산시청 26층 회의실에서 대저대교 최적노선 도출을 위한 1차 원탁토론회를 열었다.

지난 6월 낙동강유역환경청이 제시한 대저대교 대안노선 4개 중 기존 계획된 노선의 상류로 우회하는 노선은 1개, 하류로 우회하는 노선은 3개다.

환경단체는 하류로 우회하는 4안(경전철 근접안)을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1966년 낙동강 하구가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줄곧 각종 개발로 인해 보호구역이 무색해지고 자연환경이 소실된 점을 강조했다.

이로 인해 낙동강 하류부에 서식하는 큰고니와 여름을 대표하는 새인 '쇠제비갈매기', 쇠부엉이 등 멸종위기종 동물의 서식지가 날로 위협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중록 범시민운동본부 공동집행위원장은 "1년에 낙동강 하구에 오는 큰고니는 약 3000마리이며, 이는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규모"라며 "큰고니 도래 개체수가 2017년을 기점으로 3년간 감소하다가 작년에 증가했지만 올해 또다시 1488마리(11월 기준)로 대폭 줄었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부산시가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해 기존 예측과 달리 교통량이 감소해 교량 필요성이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만약 교량 건립이 된다면 1~4안 중 경전철 근접안인 4안을 택해야 한다는 것이 박 위원장의 설명이다. 경전철 근접안은 도시철도 사상역, 르네시떼와 광장로를 연결해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는 경로다.

반면 도시공학 전문가의 의견은 조금 달랐다. 환경청의 추천안인 1~4안 모두 사업성이 없는 이유로 부산시가 내세운 기존 안이 가장 적합하다는 주장이다.

기존 안은 식만분기점에서 사상공단까지 8.24km의 길이로 다른 안보다 노선이 짧은 게 특징이다.

정헌영 부산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에코델타시티 등 서부산권 개발 증가로 교통량이 집중되고 있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며 "경전철 인근 경로로 교량을 짓는다면 교통이 지체될뿐만 아니라 일반도로로 빠지고 다시 교량을 타야해 환경오염이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교수에 따르면 낙동강 하구 교통 서비스 수준은 'D등급'이다. 하지만 2025년에는 개발 영향에 따라 교통이 더 밀집할 것으로 예상돼 'E등급'으로 낮아질 수 있다.

낙동강 횡단교량의 적정 교통량은 일 60만대이지만, 2025년에는 추정 수요만 하루 73만대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청 추천안대로 짓는다면 사업비가 훨씬 더 들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부산시 안의 경우 사업비는 1486억원인데, 1~4안은 최소 2152억원에서 최대 2685억원으로 추정된다.

부산시는 고니류 서식지의 80~90%가 을숙도 하단에 몰린 점을 이유로 기존 계획안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 을숙도, 대저, 화명 습지에 교량이 있는데도 고니류가 도래하고 있는 점을 토대로 교량보다는 먹이와 안전이 서식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다. 

박영복 부산시 환경정책과 생태지질팀장은 "가능한 한 철새의 이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교량 높이를 낮추고, 대저대교 주변에 대체서식지를 조성할 예정"이라며 "철새 먹이터 유지 관리를 위해 시민단체 참여를 확대하고 환경단체의 의견을 적극 수렴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박형준 부산시장의 제안으로 총 2차례에 걸쳐 진행된다. 2차 토론회는 16일 오후 3시 부산시청 1층 대회의실에서 열린다.


blackstamp@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